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thesis focus on the Uigoakbu(擬古樂府) that Shin-Heum(申欽) created, in order to examine that the acceptance pattern about Akbu(樂府) poetries included in ≪Moon-Seon(文選)≫ which compiled by So-Tong(蕭統) in Liang Dynasty of China in Shin-Heum’s works. ≪Moon-Seon≫ includes poetries and proses from Pre Qin Era to Liang Dynasty of China which is also called ≪Somyeong-Moonseon(昭明文選)≫. It occupied very important position in the past Chinese dynasties’ literary circles, and also had irreplaceable position in the history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As an important textbook for text well in the imperial examination, it had great influence on ancient scholars and Shin-Heum is precisely the one of them. Shin-Heum created a large number of high level Uigoakbu which former scholars can not compared with. If scope on ≪Sang-Chongo(象村稿)≫ we can find that there are many similarities between the Uigoakbu in Shin-Heum’s more than 200 Akbu works and the Akbu poems included in ≪Moon-Seon≫. Especially Shin-Heum’s Uigoakbu have many common points on the aspects of poetic languages, couplets, imagery, atmosphere, and ways of expression with Ko-Akbu(古樂府), ‘Sam-Jo(三曹)’ Akbu, and Yuk-Gi(陸 機) Akbu which in ≪Moon-Seon≫. So this thesis selected three kinds of Akbu poems in ≪Moon-Seon≫ and examined Shin-Heum Uigoakbu’s acceptance patterns. Starting from the Akbu poems in ≪Moon-Seon≫ and based on the background and chance that Shin-Heum created Uigoakbu, than discussed the Akbu poems included in≪Sang-Chongo≫ generally. In the part of “acceptance pattern about ≪Moon-Seon≫ Akbu poems in Shin-Heum’s Uigoakbu”, have a careful analysis of one Ko-Akbu that quoted from ≪Sang-Chongo≫ and ≪Moon-Seon≫. Than specially discussed the acceptance pattern about Jo-Jo(曹操)’s poems in Shin-Heum’s
한국어
본고는 조선 중기 문인 申欽(1566-1628)의 擬古樂府에 초점을 맞추어, 그 작 품들이 중국 梁 蕭統이 편찬한 ≪文選≫에 수록된 樂府詩를 어떻게 수용했는가에 대해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文選≫은 先秦 시대부터 양나라까지의 대표 적인 시문을 모아 편찬한 시문선집으로 ≪昭明文選≫으로 부르기도 하는데, 사대 부의 과거용 교과서로 쓰이는 등 중국 문단은 물론 한국 한문학의 흐름에서도 매우 중요한 지위를 지닌다. 신흠 역시 예외는 아니다. 그는 전대 문인들과는 비견할 수 없을 정도로 수준 높은 의고악부를 대량 창작했다. ≪象村稿≫에 수록된 그의 의고작품 232수 중에는 ≪문선≫에 수록된 악부시와 유사한 점이 많이 발견된다. 특히 ≪문선≫에 수록된 古樂府, ‘三曹’ 樂府, 그리고 陸機 樂府에 나타난 시어, 對句, 意象, 분위기, 표현 방식 등과는 유독 많은 공통점이 나타난다. 이에 본고는 ≪문선≫의 이 3종 악부시의 분석을 통해 신흠 의고악부의 수용을 고찰했다. 본고는 우선 ≪문선≫의 악부시를 수록 상황을 분석했고 이를 바탕으로, 신흠이 의고악부를 창작한 시대적 문학적 배경을 고찰했으며 마지막으로 ≪상촌고≫에 수 록된 악부시를 분석하면서 신흠이 위 3종 악부시에 대한 수용을 검토했다. 신흠의 의고악부 중 <短歌行>이 ‘삼조’ 악부 중 조조의 작품에 대한 수용 흔적이 가장 뚜렷해 서 이를 중점적으로 논의했으며 조비의 작품과 동일한 시제를 사용한 <燕歌行>도 영향 관계가 비교적 크므로 이를 중점적으로 서술했다. 육기의 악부 중에서는 상관 관계가 비교적 긴밀한 <悲哉行>을 대상으로 그의 수용 상황을 검토했다.
목차
1. 머리말
2. ≪문선≫의 악부시 수록 상황
3. 신흠 의고악부의 창작배경 및 특징
4. 신흠 의고악부의 ≪문선≫ 악부시 수용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