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is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reation myths of Korea(mainland, Jeju Island) and the mythical elements(mytheme) of the creation myths of the Mường in Vietnam and the worldview and values that are captured there. The research subjects are
한국어
본 논문은 한국의 창세신화(본토, 제주도)와 베트남 므엉족의 창세신화 속 신화소 및 그에 갈무리되어 있는 세계관과 가치관 등을 비교 분석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한국의 경우 <창세가>(본토), <천지왕본풀이>(제주도)이며, 베트남의 경우 므엉족의 <땅과 물의 기원>이다. 주요 연구방법은 공통적 신화소가 보여주는 차이점 및 이를 기반으로 창세신화에 나타난 세계관과 가치관을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비교 분석 결과, 천지개벽, 창세신의 출현, 창세신의 결연, 일월조정, 인간창조, 물과 불의 기원, 인세차지경쟁(영토차지경쟁), 악인(怪獸, 惡靈 포함) 징치 등 다수의 공통적 신화소가 확인된다. 그러나 세계관, 가치관 등에서는 상당한 차이가 발견된다. 한국의 자료는 창세신(신적 영웅 포함)과 인간이 윤리적 심성의 계보로 이어져 있고, 이를 중시하는 세계관을 보여준다면, 베트남 자료는 창세신과 인간이 근원적 혈통의 계보로써 이어져 있고, 그에 근거한 관계의 중요성 및 ‘하늘-지상’, ‘물-용수’, ‘땅-마을’, ‘동물-인간’ 등 짝 간의 협력과 협조를 중시하는 세계관을 보여준다. 그리고 이는 한국의 자료는 과정보다는 결과를, 베트남 므엉족의 자료는 결과보다는 과정을 중시하는 가치관을 바탕으로 하고 있음이 확인된다.
목차
Ⅰ. 머리말
Ⅱ. 한국과 베트남 므엉족 창세신화의 신화소 비교 분석
Ⅲ. 한국과 베트남 므엉족 창세신화에 나타난 세계관과 가치관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