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실천적 활동, 순응적 창작의 궤적 : 이무영 ‘일본어 소설’의 서지적 검토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The Practical Acts, Traks of Adaptive Creation : Focused of Bibliographical Examines of Lee Mu-yeong’s Japanese Novel

김호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looked at the literary activities of Lee Moo-young, who is known as a pioneer in Korean peasant literature, and Japanese novels at the end of Japanese colonial rule. After resigning as a reporter for the Dong-A Ilbo, he returned home, devoted himself to creative work, and conducted activities to adapt to Japan through the Chosun Literary Association. This was largely due to Takeo Kato who was in a private relationship while studying in Japan. He appears to be practicing on national policy through active organizational activities. Since joining the Chosun Literary Association in 1939, Lee Moo-young has served as an executive member of the novel’s play club, while simultaneously translating works in Korean into Japanese. He published a paper on the Korean language of his work or published his opinion on the Korean language in the newspaper. And he appeared to cooperate with national policy in creative work and conduct, writing a series of articles on the decision made by the Chosun Literary Association in (1942). This work is awarded the fourth Chosun Art Award, which was praised for ‘showing the historical journey of Koreans as the people of the Japanese emperor.’ He began writing Japanese novels in 1942 and most of them are based in rural areas. However, he also chose different themes such as and . In addition, the magazines that publish his novels clearly show a favorable response to national policy. The magazines in which his novels were published are Nok-gi, National Literature, Mobilization, etc. In the contents of the novels, we can see signs of moderate conformity with the times. In addition, works such as , , , were written from Korean to Japanese without conflict, and even after liberation in the form of a series of works. He publishes a collection of novels, . It contains , , , , , , . Most of the works were written in Japanese, and about two were translated and published in Japanese, showing active practice in national policy. For him, Japanese novels were a way of creation that he could choose from at the day. His actions in accordance with national policy remain throughout his daily activities, so he has to be put in a critical light.

한국어

이 연구는 한국 농민문학의 선구자로 알려진 이무영의 일제강점 말기 문단 활동과 일본어 소설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그는 동아일 보 기자에서 물러난 이후 귀향하여 창작에 전념하다가 조선문인협 회를 통해 일제에 순응하는 활동을 펼친다. 이러한 모습은 일본 유 학 시절 사숙 관계에 있던 가토 타케오의 영향이 단초로 작용하여 활발한 조직 활동을 통해 국책에 실천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무영은 1939년 조선문인협회에 가입한 이후 소설희곡부회 임원으로 활동함과 동시에 조선글로 된 작품은 국어(일본어)로 번역 하고, 작품의 국어화에 관한 논문을 싣거나 신문에 작품의 국어화 에 관한 소견을 싣는 것과 같이 조선문인협회에서 결의한 내용을 수용하였고, <靑瓦の家>(1942) 등을 연재하며 창작과 행위에서 국 책에 협조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 작품은 제4회 조선예술상을 받는 데 이에 대해서 ‘황민으로서 조선 동포가 가야하는 역사적 여정을 주었다’라는 평가를 받았다. 그가 일본어소설을 쓰기 시작하는 시기는 1942년이고 대부분은 농촌을 제재로 하고 있지만, <驛前>, <海への書>와 같이 색다른 제 재를 선택하기도 하였다. 또한 그의 소설들을 게재한 잡지들은 뚜 렷하게 국책에 호응한 면모를 보인다. 그의 소설이 실린 잡지를 살 펴보면 녹기, 국민문학, 총동원 등 국민총력에 힘쓴 잡지들 로 그 내용에서는 적당히 시국에 순응한 흔적을 엿볼 수 있다. 이와 함께 <제일과제일장>, <文書房>, <婿>, <宏壯氏> 등의 작품이 갈등 없이 우리글에서 일본어로, 일본어에서 우리글로, 연작의 형태로 해방 이후에도 쓰였다. 그는 소설집 情熱の書(東都書籍京城支店, 1944)를 출간하는데 여기에는 <情熱의 書>, <初雪>, <母>, <土龍>, <婿>, <肖像>, <果園物語>, <第一課第一章> 등이 실려 있다. 대부분의 작품이 일본어로 쓴 작품이 실린 경우이고, 두 작품 정도 는 한국어로 쓰인 것을 일본어로 번역하여 게재하는 등 국책에 적 극적으로 실천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렇게 그에게 있어 일본어소설은 그가 당시에 선택할 수 있던 창작의 한 방편이었고, 그저 국책에 따르는 행위가 생활의 연속된 형태로 남아 있어 비판적 시각 속에 놓일 수 밖에 없다.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실천적 행동의 문단 활동(1939~1945)
Ⅲ. 순응하는 지식인의 창작 형태: 발표된 잡지의 서지적 검토를 중심으로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호연 Kim Hoyoen. 숭실대학교 HK사업단 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