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특집 : 서양문명의 충격과 동양문화의 변용

텍스트, 언어와 사회 : 閩방언 『聖經』과 근대 福建사회

원문정보

Text, Language and Society : The Fujian Dialect Bible and Modern Fujian Society

텍스트, 언어와 사회 : 민방언 『성경』과 근대 복건사회

조광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Chinese translation was necessary to spread the Bible to China. Therefore, the Bible’s translation process represented the medial value of multiculturalism and multilingual exchange in modern China. The translation of the Bible’s dialect, in particular, led to a movement to read the Bible and fight illiteracy, centering on the region. We can understand in detail the process of Chineseization and localization of Christianity through the propagation process of the dialectic Bible. The spread and spread of the version of the Bible in modern Chinese dialect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dissemination of the text of the Bible. There are dozens of versions of the ‘Min (Fujian)’ dialect Bible, which also play a very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modern churches in Min. The study of the Min dialect Bible is difficult to explain the complexity and diversity of the Min dialect version of the Bible. It is a new perspective to show the translation history, publishing history, reading history, social history, cognitive history and experience history of the Min dialect from four aspects. First, the study of translators and texts can be traced back to the translation history of the Min dialect Bible. Som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history of the translation of the folk dialect include the division of the Bible from the missionary book, the establishment of the Romanization of the Min dialect, the translation of the folk dialect Bible, and the translation and writing of the local dialect Bible. Second, the interpretation of the publication and dissemination of the Min dialect Bible can explain the history of the publication. The publication of the dialect bible was widely published in Shanghai due to restrictions on the church system and printing conditions and was greatly influenced by the political situation at that time. Nevertheless, each church in the Bok-Geon area set up a sales office, which greatly influenced the publication and dissemination of the various dialects Bible in the region. Thirdly, we can understand the history of the Min dialect bible by analyzing the public absorption of the Bible and the reading situation. From the reading side of the folk dialect Bible, we can see trends and their presence in the localization of the narrative, the expression of the civilian literature, and the gradual substitution of the literary language by the standard language. Fourth, through the study of each individual and situation reading the Bible, the history of the recognition and experience of the folk dialect Bible can be revealed. From the creation of the dialect (Roman) script and the translation of the Bible and the printing of the Bible to theological experience of reading and recognizing and gaining from it is a complete process. The study of individuals who are exposed to the dialect bible is expected to have an important meaning in revealing the historical value of the dialect bible in the future.

한국어

성경을 중국에서 전파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중국어 환경에서의 번역이 이루어져야 했다. 따라서 성경의 번역 과정은 근대 중국에서 다문화와 다언어 교류의 매개적 가치를 나타내는 것이었다. 특히 방 언 성경의 번역은 지역을 중심으로 “성경 읽기 운동” 및 문맹 퇴치 운동을 일으켰으며, 방언 성경의 전파과정을 통해 우리는 기독교의 중국화, 현지화, 지역화의 과정을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근대 중국 방언 성경 판본의 전파는 성경텍스트의 전파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그 중 閩 방언 성경판본은 수십 종이 있는데, 福建지 역 근대 교회의 발전과정에도 마찬가지로 중요한 역할을 했다. 현재 민 방언 성경에 대한 연구는 민 방언 성경판본의 복잡성, 다양성을 설명하기 어려우며, 네 가지 방면에서 민 방언 성경의 번역사, 출판 사, 독서사, 사회사, 인지사, 체험사를 새로운 시각으로 보여준다. 첫째 번역자와 텍스트에 대한 연구는 민 방언 성경의 번역사를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민 방언 성경 번역사의 특징으로는 성경과 선교 책자의 구분, 민 방언 로마자의 창립과 민 방언 성경의 번역, 지역 방언 성경의 번역과 저술을 들 수 있다. 둘째 민 방언 성경의 출판과 전파에 대한 상황의 해석은 그 출판 의 역사를 설명할 수 있다. 방언 성경의 출판은 교회 체제와 인쇄 조건 등의 제한으로 상해에서 많이 출판되었으며 당시 정치적 상황 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복건 각지의 교회는 대 부분 판매소를 설치하여 지역 내 각종 방언 성경의 발행과 전파에 큰 영향을 미쳤다. 셋째 민 방언 성경의 대중에의 흡수와 독서 상황의 분석을 통해 민 방언 성경의 독서사를 이해할 수 있다. 민 방언 성경의 읽기적 측면에서 보면 서사의 지방화, 민간 문학화된 표현, 표준어에 의한 문언문의 점진적인 대체성 등의 추세와 존재 양상을 알 수 있다. 넷째 성경을 읽는 각각의 개인과 상황의 연구를 통해 민 방언 성 경의 인지사와 체험사를 드러낼 수 있다. 방언(로마) 문자의 창안・ 성경 번역・성경의 인쇄부터 읽고 인지하고, 그것을 통해 얻게 되는 신학적 체험까지가 하나의 완전한 과정으로서, 방언 성경을 접하는 개인에 관한 연구는 향후 방언 성경의 역사적 가치를 밝히는데 중 요한 의미가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번역자와 텍스트: 민 방언 성경의 번역사
Ⅲ. 출판과 전파: 민 방언 성경의 출판 역사
Ⅳ. 대중과 독서: 민 방언 성경 독서의 역사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조광군 Zhao Guangjun. 하남대역사문화학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