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dance classes op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full implementation of the free semester system and to find out dancing teachers’ perceptions of dancing class activity factors under the free semester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dance them. In order to obtain the results of this study, by using purposeful sampling, a qualitative case study was conducted for 4 dancing teachers who were actually having dance classes under the free semester, which represents the characteristics of this study. The two key themes have been drawn up to analyze dancing teachers' perceptions of the free semester classes; dancing class activities and dancing teachers’ activities. First, there seemed to be a need for lack of awareness of free-semester dance classes in the school field, support personnel and infrastructure problems, systematic operation and process tasks and development, and there was a positive change as students' interest, interest and achievement in dance classes in-creased through active movement activities. Second, a dance teacher provides opportunities for various experiences, However, regarding the evaluation method of the free-semester system, dancing teachers were found to have a burden and limitations since there was no correct and detailed guideline for narrative evaluation and criteria. Therefore, to secure the expandability of dancing education based on convergence class, various classes should be provided along with other subjects. In addition, with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multiple convergence-based art classes, the strategies are needed to expand and develop dancing education.
한국어
본 연구는 자유학기제 전면 시행에 따라서 운영되는 무용 수업의 현 실태를 분석하고 무용교사의 심층적인 면 담을 통해서 자유학기제 무용 수업 활동 요인과 무용교사 활동 요인에 대한 인식이 어떠한가를 알아보는데 목 적이 있다. 본 연구의 특성은 자유학기제 무용 수업을 실제 진행하고 있는 무용교사 4명을 대상으로 유목적표 집 한 후 질적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무용교사의 자유학기제 수업 인식 분석으로 무용 수업 활동과 무용교사 활동으로 2가지 핵심주제가 도출되었다. 첫째, 학교현장에서의 자유학기제 무용수업에 대한 인식 부족, 지원 인력 및 인프라 부족 문제, 체계적인 운영과정의 과제와 발전이 필요해 보였고, 활발한 움직임활동을 통해 학 생들의 무용수업의 관심, 흥미, 성취감이 높아지면서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 둘째, 무용교사는 다양한 경험의 기회를 제공하고, 자유학기제 평가 방법에 대해서 서술식 평가와 평가기준에 대한 정확한 세부 지침이 있지 않 아서 무용 교사의 부담감과 한계점이 있는 것으로 알 수 있었다. 융합수업 인식으로 무용 교육의 확장성을 위 해 타 교과와 더불어 다양한 수업을 진행해야 되며, 복합적인 융합예술 수업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무용교육의 확대와 발전을 위해 활성화가 필요한 것으로 알 수 있었다.
목차
Abstract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자료 수집
3. 자료 분석
4. 연구의 진실성과 윤리성
결과 및 논의
1. 무용 수업 활동
2. 무용 교사 활동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