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K-beauty 서비스산업 소비지출의 영향요인 분석

원문정보

An analysis on the Factors of the Consumption Expenditure on K-beauty Service Industry

진정화, 육현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propose for the K-beauty industry by analyzing the consumption situation. The data used the household trend survey and GDP from 06’ to 16’ provided by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The analysis results of the influencing factors of expenditure on the K-beauty service industry per household resulted in the increase of expenditure on hair and beauty services and their goods when ordinary income decreased, it was possible to understand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change of Engel’s coefficient. It was difference in the proportion of consumption of beauty services account by income quintiles.The increase of the GNI had an effect on that of the consumption of K-beauty. The above results show that beauty service industry is relevant to the items of households’ income and expenditure. Plans are needed to take into account national economic trends and consumption patterns.

한국어

본 연구는 뷰티서비스 관련 소비실태를 분석하여 K뷰티 산업에 대한 발전 방안을 제시하였다. 통계청에서 제공 하는 06‘-16’ 가계 동향조사 및 GDP 자료를 바탕으로 K-beauty 서비스산업 관련 소비지출 영향요인 분석을 실시하 였다. 가구당 K-Beauty 관련 서비스 산업 소비지출 영향요인 분석 결과 이미용 서비스 소비지출과 위생 및 이미용용품 소비지출은 경상소득은 부(-)의 영향을 보여 엥겔지수의 변화와 유사한 소비 특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소득분위별 이미용서비스 소비비중이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1인당 국민소득의 증가는 K-Beauty 서비스산업 소비지출 증가 에 정(+)의 영향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로 K-Beauty 산업의 소비는 가계수지 영향요인들의 영향하에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국가기반산업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국가 경제동향과 소비패턴을 고려한 근시안적인 대안이 필요하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2.1 자료수집
2.2 소비지출 항목의 구분 및 특징
3. 연구결과
3.1 K-Beauty 서비스산업 관련 가계수지
3.2 가구원수별 K-Beauty 서비스산업 관련 지출비중
3.3 가구당 K-Beauty 서비스산업 지출 영향요인
3.4 소득5분위별 K-Beauty 서비스산업 지출영향요인
3.5 1인당 국민총소득(GNI)과 K-Beauty 서비스산업 소비지출 영향 관계
4.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저자정보

  • 진정화 Chung-Hwa Chin. 건양대학교 글로벌의료뷰티학과 교수
  • 육현정 Hyun-Jeong Yuk. Australasia International School 학생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