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청장년층 약물치료 당뇨환자의 비약물적치료 병행 여부에 따른 웰빙 : 경로분석

원문정보

Well-being of young and middle aged diabetic patients with medication according to combination of non-pharmacological treatment : a path analysis

김선경, 김유미, 김선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redictors and mediating effects of physical activity and nourishment regulation on well-being among young and middle aged patients on DM medication and to compare between those with non-pharmacological treatment and those without. Data were obtained from 2017 community health survey including 1,480 DM patients with oral medication in the age between 20 and 49. Using SPSS 25.0 and AMOS 25.0, path analysis was performed to explore the association between personal factors (socio-economic status, health habit, eating habit and compliance of health examination) and well-being, along with mediating effects of physical activity. Results demonstrated the different mediating role of physical activity. In medication only group, there was no direct effect of physical activity and no indirect effect of personal factors. Direct effect of physical activity and indirect effects of predictors were found in those with non-pharmacological treatment group. When developing strategies to enhance well-being of young and middle aged diabetic patients, proper reflection of their age specific traits and disease management capability are essential.

한국어

본 연구는 당뇨병을 진단받고 약물요법 중인 청장년층을 비약물적 요법을 병행하는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으 로 나누어 웰빙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들의 관계를 규명하고, 신체활동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자료는 2017년 지역사회건강조사(CHS) 자료를 활용하여 경구약물치료 중인 20세∼49세의 당뇨환자 1,480명을 연구 대상자로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5.0과 AMOS 25.0을 이용하여 개인특성요인(사회경제적 수준, 식습관, 건강 습관, 건강검진이행)의 웰빙에 대한 경로분석을 실시하고 신체활동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로는 집단 간 신체활동의 매개효과에서 차이가 확인되었다. 약물요법만 시행하는 집단의 경우 신체활동의 매개효과는 확인되 지 않았다. 비약물적 요법을 병행하는 그룹에서는 신체활동의 직접적 효과와 개인특성요인들의 간접적 효과가 확인되었 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약물치료를 시작한 청장년층 환자들의 특성과 질병관리 수준을 반영한 웰빙 향상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2.1 연구설계 및 연구 대상
2.2 연구도구
2.3 자료분석방법
3. 연구결과
3.1 연구대상자의 특성과 집단별 차이
3.2 상관관계분석
3.3 가설 모형의 검정
4. 논의
5.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김선경 Sun-Kyung Kim. 목포대학교 간호학과 교수
  • 김유미 Yu-Mi Kim. 충남대학교 간호대학 박사과정
  • 김선애 Sun-Ae Kim. 한국교통대학교 간호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