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and agreement between heart rates of Polar heart rate monitor and a smartwatch in order to confirm the accuracy of heart rate measured by the smartwatch. Heart rates of fifty college students were measured for a total of 12 minutes under four conditions: rest, walk, Zumba, and cycle.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d agreement analysis between heart rates of the two devices, correlation coefficient (r) was 0.995 at rest, 0.991 at walk, 0.923 at Zumba, 0.932 at cycle, and Bland-Altman ratio (BA ratio) was 0.02 at rest, 0.03 at walk, 0.06 at Zumba, 0.04 at cycle. Heart rate from smartwatch showed high correlation and agreement with heart rate from Polar in all conditions, representing that smartwatch can be considered an reliable apparatus to measure hear rate.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워치에서 측정된 심박수의 정확도 확인을 위해, 폴라 심박수와 스마트워치 심박수 간 상관과 일치도를 조사하는 것이다. 대학생 남자 27명(22.41±4.29세), 여자 23명(22.48±6.33세)을 대상으로 스마트워 치와 폴라를 착용시킨 뒤, 휴식, 걷기, 줌바, 사이클 네 가지 조건에서 각 조건별 3분씩 총 12분간 심박수가 측정되었고, 두 기기 간 상관과 일치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상관계수(r)가 휴식 0.995, 걷기 0.961, 줌바 0.923, 사이클 0.932 로 모든 운동 조건에서 폴라와 스마트워치 간 유의하고 높은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BA ratio 값은 휴식 0.02, 걷기 0.03, 줌바 0.06, 사이클 0.04로 폴라와 스마트워치 간 심박수의 일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스마트워 치의 심박수는 모든 조건에서 폴라와 높은 상관과 일치도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사용된 스마트워치는 스포츠 현장에서 폴라를 대체할 수 있는 심박수 측정도구로 사용가능 할 것으로 보인다.
목차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방법
2.1 연구대상
2.2 측정도구
2.3 실험조건
2.4. 실험절차
2.5 분석방법
3. 연구 결과
3.1 심박수 상관관계 분석
3.2 일치성에 대한 정량적 분석
4. 결론 및 논의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