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돌봄 제공자가 인식하는 입원아동의 수면양상 및 수면방해 요인에 대한 융합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Convergence of Sleep Patterns and Sleep Disturbance Factors of Inpatients Children Recognized by Care Providers

박소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was a basic study to ascertain the changes in sleep patterns and the factors disrupting sleep in hospitalized children. The participants were children aged 6 years or younger who had been hospitalized in an advanced general hospital in a particular region. A total of 81 participants were included, and for data analysis using SPSS/WIN 21.0. The results showed that children’s sleep duration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hospitalization compared to before (p <.001),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leep onset latency (p <.001) and frequency of sleep deprivation (p <.001). Factors perceived by the children’s mothers to disrupt sleep included the child’s health state, noise in the ward, nurses’ treatments, and lighting in the ward. This study verified that children’s sleep quality and duration decreases during hospitalization, demonstrating the need to prepare measures to improve sleep in hospitalized children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changes in sleep patterns and disrupting factors.

한국어

본 연구는 입원 중인 아동의 수면양상의 변화 및 수면방해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기초 연구이다. 본 연구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상급종합병원에 입원한 6세 이하 아동 8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PSS/WIN 21.0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아동의 수면시간은 입원 전에 비해 입원 후 유의한 수준으로 감소하였 으며(p <.001), 수면잠복기(p <.001)와 수면 박탈 횟수(p <.001)에 차이가 있었다. 돌봄 제공자인 어머니가 인식하는 아동 의 수면방해 요인은 아동의 건강 상태, 병실 내 소음, 간호사의 처치, 병실 내 조명 등이었다. 본 연구를 통해 아동의 입원 시 수면의 시간과 질이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입원 아동의 수면양상의 변화와 방해 요인을 파악한 연구를 바탕으로 입원 아동의 수면 증진을 위한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2.1 연구설계
2.2 연구 대상 및 자료수집 방법
2.3 연구도구
2.4 윤리적 고려
2.5 자료분석방법
3. 연구결과
3.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2 입원 전 후 수면양상의 변화
3.3 수면방해 요인
3.4 아동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수면양상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저자정보

  • 박소연 So-Yeon Park. 동의과학대학교 간호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