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팬덤활동의 유형에 따른 효과크기 비교 연구 : 메타분석 기반

원문정보

A Comparison Study on the Effect Size According to the Type of Fandom Activities : Based on Meta-analysis

김종윤, 김은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our study is to conduct a general·quantitative analysis of fandom activities and verify their organization types and effec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With regard to the comparison of effect size, the variable related to the social and economic field showed the greatest effect size, which was followed by individual behavior and individual mentality. In terms of influential factors of fandom activities, the effect size of positive variables was intermediate level while the effect size of negative variables was low level. In addition, the effect size of fandom supporting idol groups was the greatest, which was followed by of fandoms supporting sports stars, and actors. In terms of the effect size with regard to the influence on fandom among the objects of study, the effect size of university students was the greatest, which was followed by the whole, adult,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 and middle school student. Meanwhile, the result of the analysis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by country showed that China had the greatest effect size, and the US also showed quite a big effect size. On the other hand, South Korea showed a low level of effect size.

한국어

본 연구는 팬덤활동에 연구들을 총체적·계량적으로 분석한 후 팬덤활동의 구성 유형과 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 이 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효과크기 비교 시 사회경제분야 관련 변인이 가장 큰 효과크기를 보였고, 다음은 개인 행동, 개인심리로 효과크기가 나타났다. 다음으로 팬덤활동의 영향요인에서 긍정적 변인의 효과크기가 중간 수준의 효 과크기를 나타내고 부정적 변인의 효과크기가 낮은 수준의 효과크기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팬덤 형태 내 분석 에서는 팬덤이 아이돌 팬덤일 때 가장 효과크기가 크고, 그다음은 스포츠스타, 배우 순이었다. 연구 대상자 중 효과크기 는 대학생, 전체, 성인, 중고등학생, 중학생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나라별 구분에 따른 분석을 실시한 결과 중국이 가장 효과크기가 높고, 유사하게 미국의 경우도 높은 수준의 효과크기가 있었다. 반면 대한민국의 경우 효과크기가 나타나 낮은 수준의 효과크기를 보였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팬덤
2.2 팬덤관련 변인
3. 연구방법
3.1 분석논문 수집 및 선정 과정
3.2 분석 논문 코딩
3.3 자료의 분석
4. 연구결과
4.1 팬덤활동 관련 전체 평균 효과크기
4.2 팬덤활동 관련 변인유형에 따른 효과크기 분석
4.3 팬덤활동 영향 관련 연구에 대한 출판편향 분석
4.4 논의
5.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김종윤 Jhong-Yun Kim. 고려대학교 BK21+ 아시아에듀허브사업단 연구교수
  • 김은비 Eun-Bee Kim. 고려대학교HRD정책연구소 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