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근대 일본의 그림엽서 문화사 담론

원문정보

Discussion on modern Japanese picture postcard in a cultural-historical perspective

김경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modern Japanese picture postcard was a media to address special news, not delivered by newspaper, and “novelty” convened by modernization. E-Hagaki(picture postcard)had been cognitively fixed as a souvenir in the 1920s-30s from an intermediate state adopting the visibility of Nisikie Newspaper in the Edo period and the objectivity of newspaper in the Taisyo period, changing from black-and-white to colored pictures. However, from the early 20th century, a number of magazines for the picture postcard had been published , the picture postcard reception and exhibition had been held, and a new hobby to collect the picture postcard had emerged. A new culture of picture postcard evolved as an another archive in the Taisyo and Showa period as writers and artists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phenomenon. It was vigorously exploited the commercial art such as the art nouveau design, the collotype picture printing, the improvement of paper quality, and typography to make the novel and extraordinary topics of daily life newsworthy and contain more address and argument. As a result, it had converged toward the unification of the consumption power of propaganda, tourism, and travel, extensive commercial film and promotion medium, and contemporary cultural resources. Furthermore, it led the differentiated visualization in the empire period. The picture postcard culture started to transformed, extending to the colonial. The beauty picture postcard as a type of the Korean geisha picture postcard and the rural folk song of Japan as a sort of the ‘Arirang’ and ‘lyric poem’ postcard in the Chosen dynasty revealed ‘discrimination’ and ‘difference’ between colony and homeland. Hinode-Shoko, the publisher of picture postcard for Chosen and Taisyo picture printing office, the subcontractor of Imperial Japanese Army, worked as a basis to make the difference between Japan and Chosen the discrimination between homeland and colony. The picture postcard produced as a promotion material for the immigration and tourism of Chosen was not a specific souvenir. It is seen that there was an effort to extend the recognition on the ‘rural’ areas of Chosen, which Japan tried to exclusively possess, to the culture of picture postcard and actualize it as a cultural device.

한국어

근대 일본의 그림엽서는 근대화의 “새로움”과 신문이 전할 수 없는 특별한 뉴스까지 전달하는 보도 미디어이다. 그림엽서라는 용어는 외국 엽서에 실린 그림에서 영향을 받았지만 대부분 사진, 회화, 스케치의 이미지를 담고 있다. 그림엽서는 흑백에서 채색, 컬러사진으로 변화하면서 에도시대의 니시키에신문(錦絵新聞)의 시각성과 다이쇼시기의 신문의 객관성까지 수용하는 중간자 위치에서 1920-30년에는 관광기념품이라는 인식으로 고착화된다. 그러나 20세기 초부터 많은 그림엽서잡지가 발행되고 그림엽서 수집가가 등장하면서 그림엽서교환회와 전람회가 개최된다. 여기에 문학가와 예술가들도 적극 동참하면서 시대의 기록물이라는 그림엽서 문화를 창출하게 된다. 그림엽서는 일상의 모든 새롭고 특별한 주제를 뉴스화하고 더 많은 언설과 주장들을 담기 위해 아르누보 중심의 도안디자인, 콜로타입 사진인쇄, 타이포그래피와 같은 상업미술을 적극 활용했다. 그 결과 그림엽서가 가진 힘은 국가의 선전활동과 관광과 여행의 소비력, 광범위한 광고·홍보수단과 시대적 문화자원의 집합체로 수렴되었다. 그리고 일본과 동일한 문화콘텐츠이면서 제국시대의 식민지에서는 차이나는 시각화를 주도했다. 다이쇼시기 유행한 지방 민요가 일본 용 그림엽서에 실렸듯이 조선에서 발행한 그림엽서도 ‘아리랑’과 ‘정시(情詩)’엽서 형태로 재생산되었다. 특히 조선용 그림엽서 제작사인 히노데상행과 일본 육군부의 하청업체인 다이쇼사진공예사가 그림엽서 문화를 이용한 식민지의 ‘차이’를 만들어내는데 일조하였다. 이로 인해 일본이 ‘지방’으로서의 조선이라는 식민 관념을 그림엽서를 통해 확장하고 강제하려는 형식상의 문화콘텐츠로 적극 활용했다고 보여진다.

일본어

近代日本の絵葉書は近代化の“新しさ”と新聞が伝えられない特別なニュースまで伝える報道メディアである。“絵葉書”という用語は、外国の葉書に載せられている美しい絵から影響を受けたと言われているが、大部分は写真、絵画、スケッチのイメージを含んでいる。絵葉書は白黒から彩色、カラー写真へと変化し、江戸時代の錦絵新聞の視覚性や大正時代の新聞の客観性までを受け入れる中間者の位置から、1920-30年には観光記念品という認識までに固着化されている。しかし、20世紀の初めから多くの絵葉書雑誌が発行され、絵葉書コレクターが登場し、絵葉書交換会や展覧会が開催される。ここに文学家や芸術家らも積極的に参加し、大正や昭和時代の記録物という絵葉書文化を創出することになり、文化として消費された。 絵葉書は日常の全ての新しくて特別なテーマをニュース化し、より多くの言説と主張を盛り込むため、アールヌーボー中心の図案デザイン、コロタイプ写真の印刷、タイポグラフィーのような商業美術を積極的に活用した。その結果、絵葉書の持つ力は国家の宣伝活動と観光と旅行の消費力、広範囲な広告·広報手段は勿論、時代的文化資源の集合体に取り集められた。従って絵葉書文化は帝国時代のマスメディアの差異のある視覚化を主導した。すなわちプロパガンダ以外に大正時代に流行した地方の民謡の絵葉書が朝鮮でも「アリラン」と「情詩」という絵葉書の形で再生産された。ここでは、朝鮮向け絵葉書製作会社の日之出商行と日本陸軍部の下請け会社である大正写真工芸所の役割を見逃してはいけない。結論的に日本の絵葉書は日本文化という形式の面を活かし、内容面には「差異」として植民地の観念を作り出し、拡張し、強制しようとする文化コンテンツとして積極的に活用されたと考えられる。

목차

<요지>
Ⅰ. 머리말
Ⅱ. 그림엽서의 등장과 디자인
Ⅲ. 그림엽서 디자인과 출판
Ⅳ. 내선일체의 강화기제
Ⅴ. 맺음말
<참고문헌>
要旨
Abstract

저자정보

  • 김경리 Kim, Kyoung-lee. 건국대학교 아시아콘텐츠연구소 조교수, 일본문화전공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