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웰니스 및 융복합

유아기 간접흡연예방 가정연계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원문정보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Home-Linked Indirect Smoking Prevention Program for Early Childhood

김정미, 김현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home-linked indirect smoking prevention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in improving the awareness, skills, attitudes and willingness to protect themselves from smoking. 208 5-year-old children were recruited from three kindergarten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home-linked indirect smoking prevention education. Children in the comparative group, received indirect smoking prevention education in kindergarten. Children in the control group received general health education. The results revealed that all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in awareness of second-smoke, attitudes and willingness to stop smoking. However, the skills to protect oneself from second-smok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ative group. The values of changes among the groups showed high increases in the order of experimental, comparative, and control groups. This shows that home-linked education had considerable positive effects on indirect smoking prevention.

한국어

본 연구는 유아의 간접흡연에 대한 인식, 간접흡연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기술, 금연에 대한 태도 및 의지를 향상시키는데 있어, 가정연계교육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도 소재 유아교육기관 3곳 의 만 5세 유아 208명을 실험집단, 비교집단, 통제집단으로 구분하여 실험하였다. 실험집단은 간접흡연예방 가정연계교 육을, 비교집단은 간접흡연예방 기관교육 처치하였고, 통제집단은 기존의 방식대로 건강교육의 일환으로 흡연예방교육 을 실시하였다. 세 집단의 사전, 사후 변화값을 측정한 결과, 금연구역 및 표시에 대한 인식, 간접흡연에 대한 인식, 금연에 대한 태도 및 의지에 있어 세 집단 모두 집단 내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간접흡연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기술에서는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집단 간 변화값은 실험집단, 비교집단, 통제집단 순으로 증가폭이 높게 나타나 가정연계교육이 유아기 간접 흡연예방에 가장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향후 다양한 연령을 대상으로 가정연계방식의 간접흡연예방교육이 확대되어야 하며, 부모의 참여와 실제적 효과성 증진을 위해 온라 인교육 및 지역사회연계 방안이 연구될 필요가 있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2.1 연구설계, 연구대상
2.2 연구도구
2.3 연구절차
3. 연구결과
3.1 금연구역 및 금연표시에 대한 인식의 변화
3.2 간접흡연에 대한 인식의 변화
3.3 간접흡연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기술의 변화
3.4 금연에 대한 태도 및 의지의 변화
4.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김정미 Jung-Mi Kim. 삼육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 김현영 Hyeon-Young Kim. 삼육대학교 간호대학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