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efficacy and vocational identity according to the private and public self-consciousness of college students. For this purpose, 263 college students completed the questionnaires on self-consciousness, academic efficacy and vocational identit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 22.0 and AMOS 22.0. As a result, both the private and public self-consciousness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vocational identity and academic efficacy. The private and public self-consciousness had different effects on vocational identity(career exploration, career commitment, and career reconsideration) through academic efficacy. Specifically, the private self-consciousness had a direct effect only on the career reconsideration among the factors of vocational identity. Public self-consciousness was indirectly related career exploration, partially mediated by academic efficacy, whereas the association between public self-consciousness and career commitment was fully mediated by it.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career education and counseling in convergence era were discussed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were included.
한국어
본 연구는 대학생의 사적 자의식과 공적 자의식에 따른 학업효능감 및 진로정체감과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 다. 이를 위해 4년제 대학 263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 22.0과 AMOS 22.0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사적 자의식과 공적 자의식은 모두 진로정체감과 학업효능감에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 다. 둘째, 사적 자의식과 공적 자의식이 학업효능감을 거쳐 진로정체감(진로탐색, 진로몰입, 진로재고)로 이어지는 경로 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사적 자의식은 진로정체감 하위요인 중 진로재고 요인에 대해 직접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공적 자의식은 학업효능감을 부분 매개하여 진로탐색에, 학업효능감을 완전 매개하여 진로몰입에 영 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융·복합시대의 진로 교육 및 상담에 대하여 논하였으며, 향후 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2.1 연구대상
2.2 측정도구
2.3 분석방법
3. 연구결과
3.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2 연구변인의 상관 및 기술통계
3.3 자의식-학업효능감-진로정체감의 직·간접효과 및 총효과
3.4 간접효과 유의성 검증
4. 논의 및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