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경영

SNS 환경에서 온라인 관계 친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 요인들

원문정보

Key Factors Influencing Online Relational Intimacy in the Context of Social Networking Services

김병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nvestigated the key factors affecting online relational intimacy in the context of SNS. Based on the use and gratification theory, self-presentation, relationship formation and information searching were identified as the main needs of SNS usage. These needs were expected to influence online relational intimacy through user satisfaction, subjective well-being, and disclosing information behaviors. The theoretical framework was validated by a longitudinal method. Hypotheses were tested by using the partial least squares to data from 199 Facebook users. Self-presentation and information searching had a significant impact on both user satisfaction and subjective well-being. However, relationship formation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both user satisfaction and subjective well-being. User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ly on online relational intimacy. Subjective well-beings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enhancing both disclosing information behaviors and online relational intimacy. Finally, it has been found that disclosing information behaviors are a key factor in enhancing online relational intimac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key antecedents of online relational intimacy.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SNS 사용자들의 온라인 관계 친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 요인들을 살펴보았다. 사용자들의 이용과 욕구 이론을 바탕으로 자기 표현, 관계 형성, 정보 검색을 SNS의 주요 사용 욕구로 정의하였다. 이 사용 욕구들 은 사용자 만족, 주관적 행복, 정보 게시 행동을 통해 온라인 관계 친밀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하였다. 본 연구는 종단적 연구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페이스북 사용자 199명을 대상으로 연구 모형을 검증하였다. 자기 표현과 정보 검색 은 사용자 만족과 주관적 행복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관계 형성은 사용자 만족과 주관적 행복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사용자 만족은 온라인 관계 친밀도에 직접적으로만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주관적 행복은 정보 게시 행동과 온라인 관계 친밀도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정보 게시 행동은 온라인 관계 친밀도 증진의 핵심 요인임을 밝혀내었다. 본 연구 결과는 온라인 관계 친밀도에 대한 학문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배경과 연구 가설
2.1 자기 표현
2.2 관계 형성
2.3 정보 검색
2.4 사용자 만족
2.5 주관적 행복
2.6 정보 게시 행동
3. 연구 설계와 분석
3.1 척도 개발
3.2 설문 조사 수행 및 표본
4. 연구 모형 분석
4.1 측정 모형
4.2 구조 모형
5. 결론
5.1 연구 결과 토론
5.2 학문 및 실무적 시사점
5.3 연구 한계점 및 향후 연구 방향
REFERENCES

저자정보

  • 김병수 Byoungsoo Kim. 영남대학교 경영학과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