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원직장복귀 및 재취업 산재근로자의 재활서비스 욕구가 일상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원문정보

Effects of the Need for Rehabilitation Services on the Daily Life Satisfaction of Returned-to-Work and Reemployed Injured Workers : Mediating Effects Self-Efficacy

김승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at creating a daily life satisfaction improvement plan by using motivation for seeking need for rehabilitation services and self-efficacy in individuals who returned-to-work and reemployed injured work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642 returnees and 3,742 reemployed individuals who participated in the first to fifth year survey of the first cohort of the Panel Survey of Workers’ Compensation Insurance. The analysis checked the mediating effect through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bootstrapping. The result indicated the need for rehabilitation services had negative impact on self-efficacy and daily life satisfaction whereas self-efficacy had a positive effect on daily life satisfaction and played a mediating role between the need for rehabilitation services and daily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se results, a need for the advancement of social psychological rehabilitation program and establishing an integrative rehabilitation process were identified.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재활서비스 욕구 및 자기효능감을 통하여 원직장복귀 및 재취업 산재근로자의 일상생활 만족도 증진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산재보험패널조사 1차 코호트 1~5차년도 조사에 참여한 원직장복귀자 2,642명, 재취업자 3,742명이다. 분석방법으로 매개회귀분석과 부트스트래핑을 실시하였다. 연구결 과 재활서비스 욕구는 자기효능감과 일상생활만족도에 부(-)의 영향을 미쳤다. 자기효능감은 일상생활만족도에 정 (+)의 영향을 미쳤으며, 재활서비스 욕구와 일상생활만족도 사이에서 매개역할을 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개별 맞춤형 욕구 분석을 통한 사회심리재활프로그램의 고도화와 통합적 재활프로세스의 구축 등이 필요함을 제언 하였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2.1 연구모형
2.2 조사 대상
2.3 연구도구
2.4 분석방법
3. 분석결과
3.1 일반적 특성
3.2 산재근로자의 재활서비스 욕구 변화
3.3 원직장복귀자 및 재취업자 분석결과
3.4 Sobel 검증 및 부트스트래핑
4.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김승완 Soung-Wan Kim. 국립한국복지대학교 공공행정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