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응급실 간호사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폭력 경험과 외상 후 스트레스, 공감피로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Influencing Factor on the Job Satisfaction of Emergency Room Nurses : Focusing on Violence Experience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Compassion Fatigue

김화진, 박점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a correlational study between the violence experience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compassion fatigue, and job satisfaction of emergency room nurses. The researcher conducted this study on 114 randomized emergency room nurses from 9 emergency rooms located in Gyeonggi-do and collected data for approximately 4 weeks from July 1, 2019 to July 31, 2019. The mean values of verbal violence showed 11.50±3.37 points, physical threatening showed 11.57±4.15 points, and physical violence showed 11.07±5.20. In this study, the mean values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was 34.59±14.46 points, compassion fatigue was 26.50±7.17, and job satisfaction was 61.19 ± 8.38 points. Multiple linear regression indicated that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β=-.21, p=.009) respectively predicted job satisfaction(F=23.11, p<.001) Based on the study results above, it is considered that programs that can systematically manage and prevent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compassion fatigue are required to reduce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compassion fatigue from violence experience of emergency room nurses. Moreover, safe work environments should be established to work efficiency.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응급실 간호사의 폭력 경험과 외상 후 스트레스, 공감피로가 간호사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경기도 소재 9개 종합병원의 응급실 간호사 114명을 대상으로 2019년 7월 1달 동안 진행 되었다. 본 연구 결과 폭력 경험은 언어적 폭력 11.50±3.37점, 신체적 위협 11.57±4.15점, 신체적 폭력 11.07±5.20점 으로 나타났으며, 외상 후 스트레스는 34.59±14.46, 공감피로는 26.50±7.17점, 직무 만족도는 61.19±8.38점으로 나타 났다. 이 중 외상 후 스트레스(β=-.21, p=.090)가 직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회귀모형은 통계적 으로 유의하였다(F=23.11, p<.001).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응급실 간호사의 외상 후 스트레스를 관리하고 감소시키고 위해서는 이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관리 프로그램의 도입과 예방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또한 응급실 간호사의 외상 후 스트레스 및 직무만족도에 대한 대처 수준 향상을 위하여 적극적인 대처 방안과 안전한 근무환경 확보를 마련하여 야 할 것이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의 목적
2. 연구방법
2.1 연구 설계
2.2 연구 대상
2.3 연구 도구
2.4 자료수집 및 연구의 윤리적 측면
2.5 자료 분석
3. 연구 결과
3.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직무 관련 특성
3.2 대상자의 폭력 경험
3.4 대상자의 폭력 경험, 외상 후 스트레스, 공감피로와 직무만족도간의 상관관계
3.5 대상자의 직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4. 논의
5.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김화진 Hwa-Jin Kim. 굿모닝병원 응급의료센터 책임간호사
  • 박점미 Jum-Mi Park. 남서울대학교 간호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