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중국 근로자들에 대한 가부장적 리더십의 효과성 : 집단주의와 LMX의 조절역할

원문정보

The Effectiveness of Paternalistic Leadership for Chinese Employees : The Moderating Roles of Collectivism and LMX

조영삼, 신만수, 이준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paternalistic leadership, job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for Chinese employees. Further, we investigate the moderating roles of collectivism and LMX(leader-member exchange) in the relationship. Paternalistic leadership is defined as a leadership style involving the two aspects of authoritarianism and benevolence, which has been developed in Eastern culture. Even though paternalistic leadership could effectively reflect the Eastern cultural value, there has been a lack of empirical studies. Based on conservation of resource theory and social exchange theory, we argue that paternalistic leadership would have a positive effect on job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rough different psychological mechanism. The results showed that paternalistic leadership was positively related to both job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We then investigated the moderating effects of collectivism and LMX among paternalistic leadership, job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paternalistic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was stronger when collectivistic orientation of employee was higher. On the other hand, the moderating effect of collectivism was not significa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ternalistic leadership and job performance. Each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paternalistic leadership, job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was stronger when the level of LMX was higher. These research findings provide meaningful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by looking into the effectiveness of paternalistic leadership for Chinese employees from various perspectives.

한국어

본 연구는 중국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가부장적 리더십이 부하직원들의 직무성과 및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고찰하는데 주 요한 목적이 있다. 더불어 그 관계에서 집단주의 성향과 리더-부하 간의 교환관계(LMX: leader-member exchange)의 조절역할을 살 펴본다. 가부장적 리더십은 권위에 기반한 부성애적 자애로움을 갖춘 리더십 유형으로서 대부분의 리더십 유형 및 척도가 서구권에서 소개되고 발전된 반면에 가부장적 리더십은 동양권에서 소개되고 발전되어 왔다. 따라서 가부장적 리더십이 동양권 문화 가치를 더 적 절히 반영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외 실증연구는 상당히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자원보존이론과 사회교환이론을 토대 로 가부장적 리더십이 상이한 심리적 메커니즘을 통해 직무성과 및 조직시민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 설명한다. 또한 그 관계에서 집단주의 성향 및 LMX 수준에 따른 조절역할을 살펴본다. 실증분석 결과, 가부장적 리더십은 직무성과 및 조직시민행동 모 두와 강한 정(+)의 관계를 보였다. 그리고 가부장적 리더십과 조직시민행동의 정(+)의 관계는 집단주의 성향이 높을수록 더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가부장적 리더십과 직무성과의 관계에서는 집단주의 성향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가부장적 리더십 과 직무성과 및 조직시민행동 각각의 정(+)의 관계는 LMX 수준이 높을수록 더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중국 근 로자들에 대한 가부장적 리더십의 효과성을 다각도로 살펴봄으로써 이론적 및 실무적 관점에서 의미있는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목차

요약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및 가설 설정
1. 가부장적 리더십의 효과성
2. 집단주의 성향의 조절역할
3. LMX 수준의 조절역할
III. 연구방법
1. 자료수집
2. 측정도구
3. 확인적 요인분석 및 동일방법편의
IV. 분석결과
1. 상관관계분석
2. 가설검증
V. 결론 및 논의
1. 연구의 시사점
2.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연구방향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조영삼 Cho, Young-Sam. 경상대학교 경영학과 조교수, 경영경제연구소 책임연구원
  • 신만수 Shin, Mann-Soo. 고려대학교 경영학과 교수
  • 이준엽 Lee, Jun-Yeb. 경상대학교 경영학과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