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비스마르크 동맹체제 연구 - 유럽중심부 긴장요인의 세계 주변부 전환 외교전략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the Bismarckian Alliance System - With a Focus on the German Empire’s Diversion Strategy of the Intra-European Tensional Factors to the Global Periphery -

김석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last two decades of the 19th century is still being called the period of new imperialism, when colonial scrambles for Asia and Africa were heated unprecedentedly among the European colonial powers( colonial empires or metropoles). This article has focused on an analysis on the examples which show the new born German Empire had diverted regional tensions from the European core to its peripheries in a period between 1871 when German people achieved national unification and 1894 when the Sino-Japanese war broke out. For this, King Kojong(高宗)’s evaluation of the international relations, his policy of drawing Russian power into the Chosun Kingdom as was counseled by his German advisor Möllendorff amid the two emeutes of 1882 and 1884, and overheated rivalry over Korea by the European colonial powers as well as by Qing(淸國) and Japan were analyzed - from the perspectives of modern theories of international politics such as realism, liberalism, and constructivism- in concert with the Bismarckian alliance system persisted during the European colonial period. Since it was difficult for the core of European colonial empires to absorb all of the impacts which were generated by the unification of German people and had roughly shaken European political stage, Bismarck had thought outside the box to divert tensions and instabilities of the core areas to a periphery of northeast Asia, and consequently was successful. Möllendorff as an advisor to the Korean government, and Jacob Meckel to Japanese government were the persons who allegedly had carried out such important missions of analyzing respective domestic situation of northeast Asian countries, finding and exploiting the weaknesses deriving from the international relations among them. Not a few Germany’s alliance treaties with other countries in and out of Europe, concluded by the initiatives of Bismarck during his service(1862-90), had been maintained even after his resignation. And the basic principles and practices applied to ruling the German Empire were continued except young Kaiser Wilhelm II’s overseas expansion policy(Weltpolitik). The Russo-Korean secret agreement of March 1885 had triggered chained effects from the Port Hamilton incident(15 April 1885~27 February 1887), Russian Tsar’s decision to embark on the construction of Trans-Siberian Railroad(1886), adoption of sphere of influence logic by the Japanese government(1890) that seriously dreaded this railroad, and Sino-Japanese and Russo-Japanese wars. Even though Russia who was tenaciously penetrating into the Balkan and Turkish straits after the end of Napoleonic war(1815) had turned her eyes to northeast Asia to some extent since 1886, it was impossible for her to exert powerful political influences on the region because of her lack in the intercontinental railroad. Seen from the political perspectives of realism, liberalism, and constructivism, the strength and weaknesses of the Bismarckian system are as follows. From the realist perspective, since use of all available means for achieving certain purposes can be justified, Bismarck’s policy of diverting intra-European tensions to northeast Asia was appropriate. His policy not only assured survival of German Empire, but prevented intra-European wars by reducing politico-military tensions inside Europe. From the liberalist perspective, human-beings’ rational thought processes backed up by sound reasoning, universal values like natural order and tolerance are esteemed. Also, it is deemed necessary to establish parliamentary institutions by state, and a global government to abolish global anarchy. However, Bismarck’s manipulation of the masses and outdated German Reich’s parliamentary system which couldn’t effectively propose majority public opinions to the government deserve criticism. Whereas the constructivism values national identities and insists that civilized countries avoid wars, Clausewitz(1780-1831) who was posthumously followed by Bismarck(1815-1898) claims that civilized people may also have warlike tendency, and military spirit will be found in individuals in their armies. Therefore, his attitude and definition of civilization is inconsistent with the basic tenet of constructivism. The Bismarckian alliance system, as was indicated by Bismarck’s Kissingen memorandum, proved to be successful in preventing internecine wars in Europe. But deep-rooted distrust and animosities originating from Bismarck’s foreign policy of alienating French empire in Europe had resulted in separation of the European continent into two large and hostile international systems, the triple alliance and Russo-French alliance.

한국어

19세기의 마지막 20년은 유럽 식민열강(식민제국 또는 식민모국[植民母國])의 아시아 및 아 프리카 대륙에 대한 식민지 쟁탈전이 전례가 없을 정도로 가열된 신(新)제국주의 시대라고 불리고 있다. 이 논문은 독일민족이 통일된 1871년부터 청일전쟁이 발발한 1894년 사이의 기간 중, 신생 독일제국이 유럽 중심부 긴장요인을 주변부로 전환한 사례에 대한 분석에 중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조선 국왕 고종 (高宗)의 국제정세 판단, 임오군란(1882) 및 갑신정변(1884)의 와중 독일인 고문 묄렌도르프의 자문에 따 라 시작한 인아정책(引俄政策), 그리고 이후 과열된 서구 식민제국들 및 청국・일본의 한반도 점유(占有) 경쟁 현상이 비스마르크의 동맹체제 하 유럽제국주의 시대와 연계되어 현실주의, 자유주의, 구성주의적 관점을 준거의 틀로 삼아 분석되었다. 1871년 프러시아 주도로 생성된 신생 독일제국이 가져온 식민열강의 중심부, 유럽 역내 정치지각의 변 동에 따른 충격력이 유럽 역내에서 모두 흡수되기 어려웠으므로, 비스마르크는 대서양으로부터 태평양 에 이르는 거대 대륙국가 러시아의 지정학적 특성을 활용하여, 유럽 내부의 긴장 및 불안정성을 주변부 중 동북아시아로 전환시키고자 시도했고, 결과적으로 성공했다. 이러한 대외전략을 추진하는데 있어서 동북아 국가들의 내부상황과 국제관계를 철저히 분석하고 취약점을 찾아 이용하는 조치가 절대적으로 필요했던바, 그러한 역할을 한 주요 인물이 조선정부의 고문 묄렌도로프 및 일본정부의 고문 야곱 메켈 이었다. 비스마르크가 재임했던 시기(1862-90), 그가 마련해 놓은 독일제국의 각종 동맹들은 그가 해임된 이후 에도 적지 않게 유지되고 있었고, 그를 해임시킨 어린 황제 빌헬름 2세의 대외 팽창정책(Weltpolitik)을 제외하고, 대외정책 개념도 대체로 유지되었다. 1885년 3월 비준된 조러밀약(朝露密約)은 이어지는 거문 도사건(1885.4.15-1887.2.27), 러시아의 시베리아횡단철도 건설 결정(1886), 이 철도를 위협으로 간주했던 일본의 세력권 확보 논리(1890) 및 청일/러일전쟁 도발로 연쇄반응을 일으켰다. 비록 나폴레옹 전쟁 종 료(1815) 이후 집요하게 발칸 및 터키해협 방향으로 돌파를 시도하던 러시아가 1886년 이후 동북아로 어 느 정도를 눈길을 돌렸지만, 시베리아 횡단철도가 완공되기 이전에는 동북아에서 강력한 군사력을 바탕 으로 정치적 영향력을 발휘할 수 없었다. 현실주의, 자유주의, 구성주의적 관점에서 바라본 비스마르크 동맹체제의 허와 실은 다음과 같다. 현실 주의적 관점에서 볼 때, 목적을 위해 모든 수단의 사용이 정당화될 수 있었으므로, 비스마르크가 유럽지 역 내부 갈등요인을 동북아시아로 전환하는 전략을 취한 것은 독일의 생존을 보장했을 뿐 아니라 유럽 지역 내부의 정치/군사적 갈등을 해소시켜 역내 전쟁을 방지했기에 합당한 조치였다. 자유주의적 관점에서, 인간의 합리적・이성적 사고능력, 질서와 관용이 중시되어야 하고, 국가별 대의 정치 기구 뿐 아니라 무정부상태를 타파하기 위한 지구정부의 수립이 필요한데, 비스마르크의 전쟁의지 고취를 위한 대중 선동(manipulation of the masses) 행위와 독일제국 국민의 다수의견이 반영되지 못했 던 낙후된 대의정치(代議政治) 체제는 비판을 받아 마땅하다. 국가정체성을 중요시 하는 구성주의적 관점에서 볼 때 문명국가는 전쟁을 회피하는데, 사후(死後) 비 스마르크(1815-1898)가 추종했던 클라우제비츠(1780-1831)는 오히려 문명국가가 호전성을 보이고 군사 적 성과를 달성한다고 주장하므로 구성주의 정치철학의 기본적 가르침에 대해 모순된 입장을 보인다. 비스마르크의 동맹체제는 키싱겐 외교전략 메모에서 시사된 바와 같이, 유럽 역내 국제전쟁의 발발을 방지하는데 성공했으나, 독일-프랑스 사이의 뿌리 깊은 불신과 적대감으로 인해 유럽 대륙이 삼국동맹 대 러불동맹의 거대한 적대적 동맹체계로 양분되는 결과를 초래했다.

목차

국문 요약
Ⅰ. 서론
Ⅱ. 독일제국의 유럽 중심부 갈등요인 주변부전환전략(PDS: Periphery Diversion Strategy)
2.1 이론의 등장 배경
2.2 이론의 개념
2.3 중심질문 및 결과분석 기준
Ⅲ. 비스마르크 동맹체제의 경과
3.1 비스마르크 동맹체제 개관
3.2 비스마르크 동맹체제의 부침(浮沈)
Ⅳ. 독일제국 주변부전환전략(PDS)의 결과
4.1 관련 사실의 요약
4.2 국제관계 이론 측면 분석 및 비교
V. 결론
참고문헌 (References)
Abstract

저자정보

  • 김석구 Seok-Koo Kim. 충남대학교 일반대학원 국제지역학과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