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미주 한인사회의 디아스포라 음악문화 : 캐나다 토론토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Diaspora Music Culture of Korean Immigrant Society in North America : Focusing on Toronto, Canada

이용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history of Korean immigrants to North America has passed more than a century. There are many Korean immigrant societies that has made diaspora culture in metropolitans of North America. However, there are few musicological studies of diaspora music yet. The study of Song Bang-song, investigated the music of Koreans in Toronto in 1974, is the only musicological study so far. In this paper, I explored the diaspora music culture of Korean immigrant society in Toronto by examining musical activities held in 2018. The Christian church is the most important in the Korean immigrant society. Most of Korean Canadians are Christians that the church is not only the religious center but also the center of the Korean community which sustains the Korean immigrant society. The church is also the center of diaspora music culture. Many concerts are held in churches which are located in the suburban area of the metropolitan due to the low rate of the land. Therefore, the church is not an appropriate place to held concerts with its inaccessibility and inefficiency as concert halls. However, Korean Canadians prefer to held concerts in churches because most of concerts are “by the believers, for the believers, and of the believers” of the church. Most of the repertories of concerts held in church are Western classical music. The amateur musicians who have achieved economic success hope to show up their social status as the middle class in church. Their musical preference is tended to Western classical music which symbolizes the status of the middle class, and the ‘national identity’ of the host country. With the globalization of K-pop, it is very popular in the Korean immigrant society. However, the popular musicians are not able to host their own concerts but have appear public in crowded events held by the Korean immigrant societies. Most of musicians appear in the Korean Canadian stages are out-of-fashioned singers who are adored by the elders who are able to purchase expensive tickets. Some musician-pastors are very popular with their ‘gospel concerts.’ The traditional music is the symbol of the ‘image of the motherland.’ However, the traditional music is the ‘peripheral music,’ besides the Western classical music and popular music. The traditional music is preserved by the elder women who have a hard time to join the majority due to their lack of language ability. It made that the traditional music is regarded as the ‘heritage of the past.’ The Buddhists, however, promote the traditional music. Buddhist temples run music schools for the samul nori percussion quartet. Buddhist dances are performed at the services at Pyeonghwasa Temple. The dual perception of Buddhism which preserves the traditional music and ‘ethnic identity’ and Christianity which disrespects the traditional music among Korean Canadians in Toronto reflects the same phenomena of the mother country. The Korean Christian churches are the center of the Western-oriented middle class Koreans who have negative view of ethnic identity. The Korean Buddhist temples still preserve and promote the traditional music and positive ethnic identity. This diaspora music culture is not limited in Toronto but found in most of Korean immigrant societies in North America.

한국어

한민족의 미주 이민 역사는 1세기 이상이 흘렀고, 미주의 대도시에는 대규모 한인사회가 형성 되어 한인 디아스포라 문화가 형성되었다. 본고는 2018년에 개최된 각종 음악공연을 통해 토론토 한인사회의 디아스포라 음악문화를 살펴보았다. 한인사회에서 한인교회가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막중하다. 한인교회는 한인사회 공동체와 음 악문화의 중심지 역할을 한다. 대부분의 한인 주최 공연이 “교인에 의한, 교인을 위한, 교인의” 행사이기에 교회는 공연장으로 최우선적으로 선택된다. 한인교회가 중산층에 의한 성장주의를 과시하는 장이고, 이는 교회에서 개최되는 아마추어 음악애호가들의 클래식음악 공연을 통해 드 러난다. 특히 토론토 한인들이 거주국의 문화를 선호하는 국민정체성은 서양음악 선호사상으로 드러난다. 전 세계적으로 확산된 K-pop은 토론토 한인사회에서도 인기가 많다. 그러나 토론토에 서는 티켓 구매력이 있는 중년세대가 선호하는 ‘7080세대’ 가수의 공연이 많다. 교회에서의 ‘찬양콘서트’를 개최하는 가수 출신의 목회자들은 한인사회에서 인기 있는 뮤지션이다. 한인 이민사회에서 전통음악은 ‘모국의 이미지’를 표상하는 상징이다. 그러나 한인들에게 전통 음악은 클래식음악과 대중음악에 밀린 ‘주변부의 음악’이다. 전통음악은 한인 단체에서 개최하는 행사에 ‘구색 맞추기’로 초청된다. 전통공연예술을 배우는 대상은 주로 언어 소통의 한계로 주류 사회에 쉽게 편입하기 어려운 중장년층 여성이다. 그렇기에 전통음악은 ‘과거의 유산’으로 치부된 다. 이는 미주 한인이 한민족으로서의 민족정체성이 긍정적이지 않다는 사실을 음악문화적으로 반영하는 것이다. 그리고 기독교계에서는 전통음악을 소홀히 여기고, 불교계에서는 전통음악을 중시한다. 불교계의 행사에는 사물놀이가 포함되고, 심지어 의식에 작법을 연행하기도 한다. 즉, 한인사회에서 민족정체성은 불교계에서 긍정적으로 나타난다.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한인 음악사회와 한인교회
3. 클래식음악과 중산층 이미지
4. K-pop의 세계화와 한인사회의 반응
5. 전통예술과 모국의 이미지
6. 맺는말
참고문헌
부록
ABSTRACT

저자정보

  • 이용식 Lee, Yong-Shik. 전남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