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복원된 통영오귀새남굿의 음악적 분석과 전망

원문정보

A Musical Analysis and Prospect of the Restored Tongyeong Oguisaenamgut

이동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On October 26, 2019, the entire process of Tongyeong Oguisaenamgut was restored for the first time in 37 years as part of the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Foundation's Restoration Project for Traditional Arts. The restoration, which consists of the music of Jeong Yeong-man, a master of the southern coastal Byeolsingut entertainment, was reproduced based on video data found at the Arko Arts Archives. This article analyzes the overall characteristics of the restored Tongyeong Oguisaenamgut, including the rhythm, the type of music, the structure of the performance, the mode, the composition of the musical instrument, and the accompaniment. Also this article predicts the meaning and direction of the restoration of Tongyeong Oguisaenamgut. As a result, the restored music of Tongyeong Oguisaenamgut was generally followed by the pre-restoration procedures and musical features, with the natural or artificial variation derived from each musical element. However, when linked to the aspect of cultural attributes of accumulation and variability in culture, the flexibility of restoration will be justified, and the standards now referred to as archetypes will also be constantly changed according to the cultural list and situation of society. In particular, the re-creation and flexibility that intangible heritage should contain, and the transformation based on it, are related to the future direction for the continued succession of Tongyeong Oguisaenamgut, which was restored after 37 years. However, I think efforts should be made in the future to express the sound of the Menaritori by the people who have been trained in the system, to resolve some questions found in the performance structure and rhythm, and to express the sound of the musical instrument. In addition, Oguisaenamgut requires continuous attention at the local or national government level, and requires a mission with a strong sense of purpose and constant efforts from researchers and performers, particularly as long as the requester of Gut does not exist.

한국어

지난 2019년 10월 26일, 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전통예술 복원재현 사업’의 일환으로 37년만 에 통영오귀새남굿 전 과정이 복원되었다. 정영만 남해안별신굿 예능보유자를 주축으로 구성된 이번 복원연행은 아르코예술기록원에서 발견된 영상자료를 기반으로 재현되었다. 본고에서는 먼 저 복원된 통영오귀새남굿의 절차 구성과 기존 성과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복원된 통영 오귀새남굿의 장단, 음악의 종류, 연행구조, 악조, 반주형태 등 음악의 전반적 특징을 분석하여 통영오귀새남굿 복원설행의 의미와 방향성을 전망해 보았다. 그 결과 복원된 통영오귀새남굿의 음악은 전반적으로 복원 이전의 절차와 음악적 특징을 따르 고 있었고, 자연적이거나 인위적으로 원형에서 달라지는 모습이 각각의 음악 요소마다 도출되었 음이 드러났다. 그러나 문화의 축적과 가변성이라는 문화속성의 측면과 연계하였을 때 복원의 유동성은 정당화되고, 현재 원형이라 일컫는 기준 또한 사회의 문화 목록과 상황에 따라 끊임없이 변모하게 될 것이다. 특히 무형유산이 함유해야 하는 재창조성와 융통성,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한 변용은 37년만에 복원설행된 통영오귀새남굿의 지속적 계승을 위한 향후 방향성과 유관하다. 다만 악기편성의 변형에 대한 당위성, 연행구조와 장단에서 발견되는 일부 의문점의 해소, 제도권 교육을 받은 산이들의 메나리토리 성음 표현을 위한 노력이 향후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또한 망자천도를 목적으로 하는 오귀새남굿은 굿의 요청자가 존재하지 않는 한 지속적인 설행에 어려움이 따르므로 정부 또는 지자체 차원의 지속적인 관심이 요구되며, 연구자 및 연행자들의 사명감과 끊임없는 노력이 필요하다.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굿의 절차 및 내용
3. 복원된 통영오귀새남굿 음악의 전반적 분석
4. 통영오귀새남굿 복원설행의 의미와 향후 방향성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동희 Lee, Dong-Hee. 한국학중앙연구원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10,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