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educational utilization of the virtual reality sports room by exploring the TPACK in the virtual reality sports room for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For this study, Eisner (1991, 1995)'s educational criticism was used as a research methodology based on the researcher's educational connoisseurship. We collected official and unofficial documents related to virtual reality sports rooms, class photos and videos, and researcher notes, and analyzed the data using Elo and Kyngäs (2007)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method and Glaser and Strauss (1967) iterative comparative analysis metho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virtual reality sports room serves as a 'supplement' for element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Second, the contents of the virtual reality sports room mainly include FMS and various sports in consideration of sequence and diversity. Third, there are the principles of individuality, self-directedness, interaction, and suitability in the teaching method of the virtual reality sports room. Fourth, the actual operation of the virtual reality sports room has the characteristics of articulation, scalability, and limitat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esents a new direction of physical education using technology in the post-coronavirus era and prepares for future education to come.
한국어
이 연구는 초등체육을 위한 가상현실 스포츠실의 테크놀로지 교수내용지식(TPACK)을 탐색함으로써 가상현실 스포 츠실의 교육적 활용도를 제고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의 교육적 감식안을 바탕으로 Eisner(1991, 1995)의 교육비평을 연구방법론으로 활용하였다. 자료는 가상현실 스포츠실 관련 공식·비공식 문서, 수업 사진 및 영상, 연구자 노트 등을 수집하고, Elo와 Kyngäs(2007)의 질적 내용 분석법과 Glaser와 Strauss(1967)의 반복적 비교분석법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상현실 스포츠실은 초등체육의 ‘보완제’ 역할을 한다. 둘째, 가상현실 스포츠실의 콘텐츠는 계열성과 다양성을 고려하여 FMS와 다양한 신체활동 및 스포츠형 게임 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셋째, 가상현실 스포츠실의 교수·학습방법에는 개별성, 자기주도성, 상호작용성, 적합성의 원리가 있다. 넷째, 가상현실 스포츠실의 실제 운영은 연계성, 확장성, 한계성의 특징이 있다. 이 연구는 포스트 코 로나 시대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초등체육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고 다가올 미래교육을 준비하는 계기를 마련한 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가상현실 스포츠실
2. TPACK
Ⅲ. 연구방법
1. 교육비평
2. 교육적 감식안
3. 자료 수집 및 분석
4. 연구 단계
5. 연구의 진실성
Ⅳ. 결과 및 논의
1. TK: 초등학교 체육에서 가상현실 스포츠실의 역할
2. TCK: 가상현실 스포츠실 테크놀로지 내용지식
3. TPK: 가상현실 스포츠실 테크놀로지 교수지식
4. TPACK: 가상현실 스포츠실 테크놀로지 교수내용지식
Ⅴ. 요약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