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초등학교 학생운동선수의 학습멘토링 효과

원문정보

Effects of Learning Mentoring for Athlet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김비아, 이근모, 정성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learning mentoring cla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 athlet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2 elementary school boys and 8 signigicant other. The investigative tools collected data such as open questionnaire, mentoring class journals, academic achievements, performance records, and interviews, and the interview time was about 15 minutes to 20 minutes. In the data analysis stage, frequency analysis and percentages using spreadsheets were calculated to understand the research participants' perception of mentoring classes. In addition, in order to analyze th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class in depth, interviews, research journals, daily report indicators, and national tournament scores were analyzed four times to obtain the following conclusions. Mentoring class management tasks include mentoring class and academic achievement, training time and performance, institutional support, budget reports for mentoring class management, and conflict between leaders and academics. The positive effects of the mentoring class are the satisfaction and perception change of the mentoring class, the change in academic achievement, the relationship between mentoring class and performance, and the opportunity for self-discovery and human growth. The balance of exercise will help you prepare and design your own life.

한국어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학생운동선수의 학습멘토링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남학생 12 명과 중요타자 8명 총 20명으로 하였다. 조사도구는 개방형질문지, 멘토링 수업일지, 학업성취도, 경기성적, 면담 등의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면담시간은 개별적으로 약 15분 ~ 20분 소요되었다. 자료 분석단계에서는 멘토링 수업 에 대한 연구참여자의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스프레드시트를 활용한 빈도분석과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그리고 수업 의 구체적인 정보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면담, 연구일지, 생활통지표와 전국대회 성적을 4회 분석하여 다음 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멘토링 수업의 운영과제로는 멘토링 수업과 학업성취도, 훈련시간과 경기력, 제도 적 지지, 멘토링 수업 운영을 위한 예산학보 그리고 학업과 운동 사이에서 지도자가 겪는 갈등으로 나타났다. 멘토 링 수업의 긍정적 효과는 멘토링 수업의 만족과 인식변화, 학업성취도의 변화, 멘토링 수업과 경기력의 관계 그리 고 자기발견의 기회제공 및 인간적 성장의 의미 있는 결과로 나타나 멘토링 수업은 초등학교 학생운동선수들의 학 업과 운동의 균형을 통해 스스로 자신의 인생을 준비하고 설계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 대상
2. 멘토링 과정 및 연구 절차
3. 자료 수집
4. 자료 분석
5. 자료 분석의 진실성
Ⅲ. 연구결과 및 논의
1. 멘토링 수업의 인식
2. 멘토링 수업의 과제
3. 멘토링 수업운영 효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S

저자정보

  • 김비아 Kim, Bia. 부산대학교, 교수
  • 이근모 Lee, Keun-mo. 부산대학교, 교수
  • 정성우 Jung, Sung-woo. 부산교육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