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게임 수업에서의 프로젝트 학습 실천과 성찰

원문정보

Practice and Reflection on Project Based Learning in Game Teaching

한상모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Project-based learning, which is based on practical problems, has been spotlighted in many subject areas in terms of being effective in improving students' problem-solving skills. However, as the existing project learning is mainly focused on the cognitive aspect, there is a limit to the full application to the physical education subject that features dynamic motor sensation. Based on this problem recognition, 'I' wanted to modify the existing model and apply it to the game class through a new approach. As a result, project learning was structured into a phase of ‘problem situation’, ‘problem solving process’, and ‘provisional conclusion’. According to this point of view,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of 'I' considered the game as a living task, but could not completely overcome the scenes of non-education and mis-education. As a result of this practice, three reflections were reached. First, project based learning in the physical education should be utilized as a variable model, and the collection of information should be presented through tasks that can give a kinesthetic experience. Second, the teaching model should be interpreted and applied in terms of ‘the fusion of the horizon’ in order to be suitable for each ecology. Third, physical education should focus on the intrinsic value by comprehensively dealing with the unique experience of human being, 'knowledge of movement'.

한국어

프로젝트 학습은 실제적인 문제를 기반으로 학생들의 문제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으로 인해 여러 교과교 육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프로젝트 학습은 주로 인지적 측면에 초점을 둠에 따라 역동적인 운동 감각을 특성으로 하는 체육교과에 온전히 적용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나’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기존의 프로젝트 학습을 해체하고 새로운 접근을 통해 게임 수업에 적용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프로젝트 학습을 문제 상 황-문제 해결 과정-잠정적 결론의 국면으로 구조화하고, 가볍지만 성취기준의 핵심을 담고 있는 종목을 선정하여 실제 게임 참여가 단원의 중심이 되도록 운영하였다. 이러한 관점에 따라 실천한 ‘나’의 체육수업은 게임을 살아있 는 과제로 다루게 되었지만 비교육과 무교육의 장면을 완전히 극복할 수는 없었다. ‘나’는 수업을 실천한 끝에 다음 과 같은 세 가지 성찰에 이르렀다. 첫째, 체육과의 프로젝트 학습은 가변적인 모형으로 다루어져야 하며, 정보의 수 집은 운동감각적 경험을 줄 수 있는 과제를 통해 제시되어야 한다. 둘째, 수업모형은 수업이 이루어지는 생태에 적 합하도록 ‘지평의 융합’의 관점에서 해석되고 적용되어야 한다. 셋째, 체육교육은 ‘움직임의 지식’이라는 인간의 고 유한 경험을 포괄적으로 다룸으로써 내재적 가치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

목차

국문초록
Ⅰ. 체육수업을 ‘실제적인 과제’로 접근하기
Ⅱ. 프로젝트 학습에 기반한 게임 수업의 설계와 실천
1. 체육수업에 대한 관점의 전환
2. 프로젝트 학습에 기반한 게임 수업의 설계
3. 프로젝트 학습에 기반한 게임 수업의 실천과 성찰
Ⅲ. 체육교과교육의 실천 방향을 다시 생각해보기
1. 체육교과교육의 방편으로서 프로젝트 학습에 대한 재해석
2. 수업모형 간 ‘지평의 융합’
3. 체육교육의 내재적 가치는 무엇인가?
Ⅳ. 복기(復棋)를 마치며
참고문헌
ABSTRACTS

저자정보

  • 한상모 Han, Sang-mo. 아미초등학교, 교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