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n the Impact of CPTED on Fear of Crime - Focus on college students -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crime prevention environment design (CPTED )on crime anxiety among college students in the country.Stata 14.2statistics program was used using atotal of 640 questionnaire responses as the final analysis data .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as a result ofconducting descriptive statistics,exploratory factor analysis,T-testone -way crosstabulation , correlation analysis , simple regression analysis ,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confirm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crime anxiety by gender. It was found that women had higher anxiety in crime than men. Seco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crime anxiety according to trace experience. Third, surveillance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 effect on crime anxiety of college students. Fourth, access control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 effect on crime anxiety of college students. Fifth, strengthening the community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 effect on crime anxiety of college students. In addition, in the results of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consideri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nly the monitoring factor among the monitoring, access control, and community strengthening factor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It was found that women had higher crime anxiety than men, and college students who had traces or had trace experience had higher crime anxiety than college students without trace experience.
한국어
본 연구는 전국의 재학 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범죄예방환경설계(CPTED)가 범죄불안 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총 640명의 설문 응답을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여 Stata 14.2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먼저,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 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기술통계를 실시하고 탐색적 요인분석, T검정 일원배치 교차분석, 상관관계 분석, 단순회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 였다. 첫째, 성별에 따른 범죄불안감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보다는 여성이 범죄 불안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취경험에 따른 범죄불안감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감시는 대학생의 범죄불안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다. 넷째, 접근통제는 대학생의 범죄불안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다. 다섯째, 공동체 강화는 대학생의 범죄불안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 타났다. 더불어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고려한 다중회귀분석의 결과에서는 감시, 접근통제, 공동 체 강화 요인 중 감시 요인만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으며 감시가 잘 이루어질 수록 범죄불안감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보다는 여성이 범죄불안감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취를 하고 있거나 자취경험이 있는 대학생이 자취경험이 없는 대학 생보다 범죄불안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