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지역주요산업과 관련 전시회 개최 현황 비교 - 제4차 국가균형발전 5개년계획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Comparative Study on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Exhibition with the Major Industries in the Region - Focused on the Fourth Five-Year Plan for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

이은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Exhibitions and conventions can help accelerate the economic and innovational value of their cities. Holding more exhibitions and international conferences on high-tech and creative industries can help shape and position the collective goals of private and public institutions for local growth. This will make it possible for the corresponding industry to attract external corporate investment and talent more effectively and will ultimately lay the foundation for a turning point in enhancing the city's brand value. In this regard, the study sought to identify the specialized industries of cities that have exhibition and convention centers in Korea and how much exhibitions are being held in those areas to identify how much each region is using the exhibitions as a facility to collect local intellectual capital.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e majority of the specialized industries' exhibitions were not being held in exhibition centers. In fact, most of the exhibitions held in these specific cities do not relate to any specific industry.

한국어

전시와 컨벤션은 지방의 성장을 위한 민간 및 공공기관의 집단적 목표를 구체화하고 포지셔닝 하도록 할 수 있는 첨단산업과 창조산업에 관한 더 많은 전시회와 국제회의 를 개최하도록 함으로써 그들 도시의 경제 및 혁신 가치를 가속화 하도록 도울 수 있 다. 이는 해당산업에서 외부 기업 투자와 인재를 보다 효과적으로 유치하는 것이 가능 하도록 할 것이며 궁극적으로 도시의 브랜드 가치를 높일 수 있는 전기를 마련할 수 있는 토대를 구축할 것이다. 궁극적으로 이러한 도시 브랜드 가치는 도시의 지속가능 한 발전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전시장을 보유하고 있는 지역에서의 주요산업을 알아보고 그 산업에 부합하는 전시 회가 얼마나 해당 지역에서 개최되고 있는지를 알아봄으로써 각 지역이 전시회를 지역 의 지적자본을 모으는 시설로 활용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서 각 지역이 전시회를 지역의 지적자본을 모으는 시설로 활용하고 있는지를 파악하였는데 지역에서 주요산업으로 간주하고 있는 산업에 관련된 전시회가 전시장에서 다수 개최 되지 못하고 있었으며, 특정 지역에 많은 전시회가 산업의 부문과 관계없이 쏠림 현상 이 일어나고 있었다.

목차


Ⅰ. 서론
Ⅱ. 국가균형발전계획과 전시산업
1. 제4차 국가균형발전 5개년계획
2. 전시회와 지역발전
Ⅲ. 전시산업의 분류와 지역 주요산업
1. 전시산업 분류기준
2. 제4차 국가균형발전 5개년 계획과 주요산업
IV. 지역 주요산업과 전시회 개최현황
1. 지역별 주요산업과 전시장
2. 전시회 산업부문 분류체계와 주요산업
3. 전시회 산업부문 분류와 지역별 전시회 개최 수
Ⅳ. 논의
참고문헌
<요약>

저자정보

  • 이은성 Eun-Sung LEE. 동덕여자대학교 글로벌MICE전공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