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한국전쟁기 학술원의 창립과정과 한글간소화파동

원문정보

The course of establishing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and the Hangeul Simplication Dispute during the Korean War era

유상수

숭실사학회 숭실사학 제44집 2020.06 pp.165-187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intention of this article is to demonstrate how Rhee Syngman Regime established the material mobilization system during the Korean War era by taking advantage of anti-communist ideology. To understand this, I tried to focu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llectuals who were involved in the foundation of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and the various control methods by the government forces. This article is divided into three parts. The first part shows the course of establishing the academic research institutes by the intellectuals right after the national liberation from Japanese colonization. During the course of the establishment of Joseon Academy of Sciences, which led to the foundation of wartime scientific institute, the intellectuals around Baek Nam-woon wished building a new nation and the revolution of reality. However, during the course of the upheaval - after liberation, division of Korea into north and south, and then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 these intellectuals greatly lost their ground and even exploited in the situation of competitive structure between the South and North Koreas. In the second part, the passage of the Cultural Protection Act and the foundation of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are covered. The Cultural Protection Act was claimed for the purpose of guaranteeing the freedom of study and art, improving the status of the scientists and artists so that contribute to create and develop the national culture. But in fact, this law acted as another's instrument, for Rhee Syngman to establish a strong anti-communism system needed to his own presidential term extension. In the last part, the role of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during the Hangeul Simplication Dispute was examined. The Academy was summoned to the Hangeul Simplication Dispute caused by Rhee Syngman authoritarian rule. In the process, not only the Academy was criticised for it, but also the members of the Academy were agitated internally, which frankly show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llectuals and the political authorities, the former served as a puppet of the latter.

한국어

이 글은 한국전쟁기에 반공이데올로기를 통한 동원체제의 구축을 파악하려는 의도로 작성되었다. 이를 파악하기 위해서 학술원의 창립과정에 있었던 지식인들과 국가의 다양한 통제와의 관계를 집중적으로 살펴보려고 하였다. 이를 살펴보기 위해서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는데, 첫 번째 부분에서는 해방을 직후한 시기부터 지식인들에 의한 학술기관의 설립과정을 살펴보았다. 조선학술원의 창립과 전시과학연구소의 설립으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백남운 등을 중심으로 결합된 지식인들은 신국가 건설과 현실변혁을 꿈꾸었으나 해방과 분단, 전쟁으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그 역량이 크게 줄었고, 남과 북의 경쟁체제에 적극 동원되어야 하는 상황으로 전락하였다. 두 번째 부분에서는 문화보호법의 통과와 학술원이 창립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문화보호법은 ‘학문과 예술의 자유를 보장하고 과학자와 예술가의 지위를 향상시킴으로써, 민족문화의 창조 발전에 공헌함을 목적’으로 하여 탄생하였으나 이 법이 발의되고 통과되는 시점은 공교롭게도 이승만이 자신의 임기연장을 위해 직선제로의 개헌을 위해 일으켰던 부산정치파동과 맞물려 있었다. 이승만이 자신의 임기를 연장시키기 위해 강력한 반공극우체제를 구축하는 과정의 소용돌이에 휘말리게 되었던 것이다. 세 번째 부분에서는 한글간소화파동 중의 정부의 학술원에 대한 통제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승만의 권위주의적 통치행태로 인해 불거진 한글간소화파동에 학술원은 소환되었다. 이 과정에서 학술원은 외부로부터의 비판 및 내부적인 동요를 겪었으나 전문성을 활용한 능동적 모습을 통해 정권의 학술통제 시도에 대해 저항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이는 지식인이 권력으로부터 자유롭기 어려움을 보여주는 것이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학술원 이전 학술계의 동향
1. 조선학술원의 창립
2. 전시과학연구소의 창립
Ⅲ. 문화보호법의 제정과 학술원의 창립과정
Ⅳ. 한글간소화 파동과 학술원
Ⅴ.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유상수 Ryu, Sang Soo. 순천대학교 인문학술원 학술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