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중일전쟁 이후 조선군의 ‘평양사단’ 증설과 그 의미

원문정보

Expansion of 'Pyeongyang Division' of Joseon Military after the Sino-Japanese War and its significance

조건

숭실사학회 숭실사학 제44집 2020.06 pp.119-140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mperial Japan created the 30th Division in Pyeongyang in May 1943 when it looked destined for certain defeat during the second World War. The 30th Division, so-called Pyeongyang Division, was stationed in colonized Joseon along with the 20th Division in Gyeongsung and the 19th Division in Nanam. In other words, the 30th Division showed the status of division stationed permanently to conduct colonial rule and a war of aggression surrounding Pyeongan-do unlike other divisions built in haste to defend the Korean Peninsula at the end of the war. The 30th Division was created in the period of the 74th Regiment under the 19th Division, the 77th Regiment under the 20th Division and the 41th Regiment stationed in Fukuyama, Japan. Its border guard area was in the whole area of Pyeongando and its headquarters were in Pyeongyang. But when main force unit moved to the front of Philippines in May 1944, one year after its creation, the period of being completely stationed in border guard area as the division stationed permanently was not so long. Nonetheless, at some points it has been brought to our attention that 'Pyeongyang Division' was created and stationed. Firstly, the intention of military rule by dividing the Korea Peninsula into three could be seen. The purpose of creating the 30th Division can be limited to just rule the Korean Peninsula but it is significantly meaningful that there was change in 2 divisions system which have been kept for more than 20 years since 1921 when Japanese forces was permanently stationed in Joseon. Secondly, military status and changed role in colonial Joseon could be understood. It was judged that the 30th Division was stationed surrounding Pyeongyang to prepare for Sino-Japanese War. While the 20th Division focused on security in Joseon since its creation, the 19th Division could be said to be the division to prepare for a war against the Soviet Union. Along with this, there was a need of unit which conducted a war against China shortly after Sino-Japanese War. Thirdly, the study on the 30th Division is helpful in examining military mobilization of Koreans and its damage. The 30th Division was in the period of existing an infantry regiment stationed in Joseon. Accordingly, the young in Joseon originally mobilized to the infantry regiment were arranged to the 30th Division. In addition, not a few of student volunteer soldiers enlisted in January 1944 were assigned to Pyeongyang Division. In other words, it is required to understand the presence, formation and activity of the 30th Division in order to examine military mobilization of people in Joseon. Fourthly, many military remains built to make the 30th Division stationed in the whole area of current Pyeongyang in North Korea are verified. The truth is identified through drawings and aerial photographs remaining in Korea currently from that time and the joint study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can be conducted as a medium of Japan's invasion and colonial rule into the Korean Peninsula by conducting site inspection through exchanges with North Korea and emphasizing its historic meaning in the future.

한국어

제국주의 일본은 제2차 세계대전의 패색이 짙어가던 1943년 5월 평양에 제30사단을 신설하였다. 이른바 평양사단으로 불리던 제30사단은 경성의 제20사단, 나남의 제19사단과 더불어 식민지 조선에 상주(常駐)하게 되었다. 즉 제30사단은 전쟁 말기 한반도 방어를 위해 급조되었던 여타 사단과 달리 평안도를 중심으로 식민지 지배와 침략전쟁을 수행하는 상주사단의 위상을 지니고 있었던 것이다. 제30사단은 애초 제19사단 소속이었던 제74연대와 제20사단 예하의 제77연대, 그리고 일본 후쿠야마 주둔 제41연대를 기간으로 성립되었다. 위수지역은 평안도 일대였으며 사령부는 평양이었다. 다만, 창설된 지 1년만인 1944년 5월 필리핀 전선으로 주력부대가 이동하면서 상주사단으로서 위수지역 내에 온전히 주둔한 기간은 길기 않았다. 그럼에도 ‘평양사단’의 설치와 주둔은 몇 가지 점에서 주목된다. 첫째, 한반도를 삼분해서 군사 지배하려는 의도를 엿볼 수 있다. 제30사단의 창설 목적이 한반도 지배에만 있었다고 할 수는 없으나 조선 주둔 일본군의 상주화가 완료되는 1921년 이래 20년에 넘게 유지되던 상주 2개 사단 체제가 변모했다는 점에서 그 의미는 자못 크다. 둘째, 식민지 조선의 군사적 위상과 역할 변화를 파악할 수 있다. 제30사단이 평양을 중심으로 주둔하게 된 것은 다분히 중일전쟁에 대비한 것으로 판단된다. 제20사단이 창설 이래 조선 내 치안을 중점에 두었다면, 제19사단은 소련과 전쟁에 대비한 군대라는 측면이 강했다. 이와 함께 중일전쟁 직후 중국에 대한 전쟁을 수행할 수 있는 부대가 필요했던 것이다. 셋째, 제30사단에 대한 연구는 조선인 군사 동원과 피해를 조명하는 데도 도움을 준다. 제30사단은 조선에 주둔했던 기존의 보병연대를 기간으로 하고 있었다. 따라서 이들 보병연대에 애초 동원되어 있었던 조선인 청년들이 그대로 제30사단에 배치되게 된다. 또한 1944년 1월 입영한 학도지원병 역시 적지 않은 수가 평양사단에 배치되었다. 즉, 조선인 군사동원을 규명하는데 제30사단의 주둔과 편제, 활동 등을 파악하는 일이 요구되는 것이다. 넷째, 현재 북한 평양시 일대에는 제30사단의 주둔을 위해 건설되었던 군사유적이 다수 남아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국내에 남아 있는 당시 도면과 항공사진 등을 통해 그 실체가 파악되고 있는데 향후 북한과의 교류를 통해 현장을 실사하고 그 역사적 의미를 부각하여 일제의 한반도 침략과 지배를 매개로 한 남북 공동 연구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중일전쟁기 조선군의 중국 침략과 사단 증설
1. 중일전쟁기 조선 주둔군의 중국 침략
2. 전쟁의 장기화와 신설 사단 증설
Ⅲ. 상주 제30사단의 평양 설치과 현재 실태
1. 제30사단의 평양 설치
2. 평양 내 제30사단 병영지 현황
Ⅳ. 조선 내 상주 3개 사단 정립(鼎立)과 그 의미
Ⅴ.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조건 Cho, Geon. 동북아역사재단 연구위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