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1920년대 『朝鮮文 朝鮮』에 나타난 조선총독부 관료의 사회교육론

원문정보

Social Educational theory of the officials of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in 1920s 'Joseonmun-Joseon(朝鮮文朝鮮)'

1920년대 『조선문 조선』에 나타난 조선총독부 관료의 사회교육론

서태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article examines the education-related articles of the 1920‘s from in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s publication Chosunmoon Chosun.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s publication Chosun were published in Japanese and Korean. However, these were not simple translations, and contents were different. The Korean version was the official means of communicating what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wanted to promote to Korean people.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changed from 'military rule' to 'cultural rule' after the 3.1 movement in 1919. Because of this, the international community criticize the Japanese colonial rule. So, the Japanese imperialism wanted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Korea due to their domination. Furthermore, education was especially important among the colonial rule of Joseon. In this article, I attempted to analyze the constitution and content of my writing by the author who wrote articles related to education of Joseon. Through this, it can be seen that education articles are composed of various topics such as education on the system, rural education, women education, youth education, and social education. Among them, social education were the most important contents. The purpose and character of social education are as follows. Japanese imperialism decided that greater progress was needed after World War I. For this, society must stabilize, and the people have to become the "Loyal imperial subject" the state wants. So all the people in society have become subjects of education. Social education was an alternative becouse of the majority of the people were unable to go to school In colonial Joseon. The principal agent of social education was the governmental institution.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recognized the people as subjects of enlightenment. And They rightly argued that people should devote themselves to the development of the nation.

한국어

본고는 조선총독부 기관지 『朝鮮文 朝鮮』에서 1920년대 교육 관련 기사를 살펴본 것이다. 조선총독부 기관지 『朝鮮』은 일본어판과 조선어판으로 출판되었는데, 두 출판본은 같은 내용을 단순히 번역한 것이 아니라 다른 내용을 담고 있다는 점이 주목된다. 조선어판인 『朝鮮文 朝鮮』은 조선인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어 조선인 관료를 비롯한 조선인 민중에게 선전하고자하는 것을 공식적으로 전달하는 수단이었다. 조선총독부는 1919년 3.1운동 이후 식민지 조선에 대한 통치 방식을 이른바 무단 통치에서 문화 통치로 전환하였다. 3.1운동으로 일본 국내외에서 조선총독부의 비인도적 통치 방식에 대한 비판이 잇따르자 일제는 조선 통치로 인해 조선이 발전하였음을 대내외적으로 선전하고자 했다. 그 중에서도 교육 분야는 소위 ‘一視同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중요시되었다. 이 논문은 『朝鮮文 朝鮮』에서도 교육과 관련된 기사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교육 관련 기사는 제도 교육, 농촌 교육, 여성 교육, 청년 교육 및 사회 교육과 같은 다양한 주제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교육 관련 기사의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한 사회교육의 목적과 성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차 세계대전으로 부를 축적한 일제는 세계정세 속에서 경쟁하기 위해 보다 더 큰 발전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이를 위해서는 사회가 안정되어야 하고, 민중은 국가가 원하는 ‘충량한 신민’이 되어야 했다. 따라서 사회를 이루고 있는 모든 민중이 교육의 대상이 되었다. 민중을 교육하는 것은 학교도 있지만 학교에 가지 못하는 민중이 대다수이기 때문에, 그에 대한 대안책으로 사회교육이 등장하였다. 사회교육의 주체는 국가기관이었다. 민중은 교화의 대상으로써 인식되었으며, 국가의 발전을 위해 헌신해야 함을 당연하게 주장하였다.

목차

Ⅰ. 머리말
Ⅱ. 『朝鮮文 朝鮮』의 교육관련 기사 구성
Ⅲ. 사회교육의 내용과 특징
1. 사회교육에 대한 인식과 목적
2. 사회교육의 대상과 내용
Ⅳ. 맺음말
<부록>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서태정 Seo, Tae Jung. 서강대학교 박사과정 수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