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光海君 代의 종교지형 변동 - 지배층의 이중적 佛敎觀과 승려와의 교유 -

원문정보

Changes in Religion Topography in Gwanghaegun era - Dual View of Buddhism and the Interchange with Buddhism Monks of the Ruling Class -

광해군 대의 종교지형 변동 - 지배층의 이중적 불교관과 승려와의 교유 -

이종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written to reveal that the ruling class of the Gwanghaegun had dual views of Buddhism. Through this, Buddhism of the time was also defined as heresy by Neo-Confucianism, while Buddhism had its own influence in the Gwanghaegun era. During the Gwanghaegun era, the Gwanghaegun, the royal family, and the nobility adopted a dual view toward the Buddhism, both positive and negative. As a result, the royal family of Gwanghaegun and Gwanghaegun rebuilt various Buddhist buildings, including the Wonchal, and produced several Buddhist artworks. It also contained the Buddhist faith of the Gwanghaegun and the royal family. On the surface, however, the Buddhist faith of Gwanghaegun and the royal family was hidden behind the cause of the restoration and restoration of the war. In addition, vassals who studied Neo-confucianism were negative about Buddhism, which was a heresy due to the ideological background of Neo-Confucianism, but they participated in the production of inscriptions for monks during the period, and were also found to have extensive knowledge of Buddhism, or to recognize Buddhism. Even the incident of a noble woman becoming a bhikkhuni(Buddhist nun), in this case, Buddhist faith was not an important issue of punishment. Rather, this case became an example of how widely Buddhism was believed at that time. This means that the ruling class of the time had a dual view of lending to Buddhism, indicating that Buddhism still had influence in the Gwanghaegun era.

한국어

본 연구는 광해군대의 지배층이 이중적인 불교관을 가지고 있었다는 것을 밝히고자 작성되었다. 이것을 통해 당대 불교가 성리학에 의해 異端으로 규정된 동시에, 광해군 代에 나름의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음을 밝히고자 한다. 광해군 代에 광해군, 왕실, 사대부들은 불교에 대하여 긍정과 부정의 이중적 시각을 가지고 있었다. 그 결과 광해군과 광해군 代의 왕실은 원찰을 비롯한 다양한 불교 건축물을 재건했고, 여러 불교 예술품을 제작했다. 여기에는 광해군과 왕실 사람들의 불교 신앙도 담겨있었다. 그러나 표면적으로 광해군과 왕실의 불교 신앙은 孝와 전후 복구라는 명분 뒤에 감춰져서 표현되었다. 또한 유신들은 성리학이라는 사상적 배경으로 인해 이단인 불교에 대하여 부정적이었으나, 당대 승려들과 교류하면서 고승들의 비문 제작에 참여하였고, 불교에 대한 해박한 지식을 가지고 있거나, 불교를 인정하는 태도도 드러났다. 심지어 사대부 여성이 비구니가 되는 사건까지 일어났는데, 여기에서 불교 신앙은 처벌의 중요한 문제가 아니었다. 오히려 이 사건은 당시 불교가 얼마나 다양하게 널리 신앙되었는지 방증하는 사례가 되었다. 이러한 모습은 당대 지배층이 불교에 대여 이중적 시각을 가지고 있었다는 것을 의미하며, 불교가 광해군 代에 여전히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목차

I. 머리말
Ⅱ. 광해군과 왕실의 이중적 불교관
1. 우호적 불교관
2. 불교신앙의 은폐와 戰後 復舊 대상으로서의 불교
Ⅲ. 儒臣의 이중적 불교관
1. 부정적 불교관
2. 불교에 대한 容認
Ⅳ. 지배층과 승려와의 교유
1. 士大夫와 승려의 교유
2. 사대부 여성과 승려의 교유-李女順의 사례
Ⅴ.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이종우 Lee, Jong Woo. 상지대학교 교양대학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