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Under the goal of specifying the tone theories of Akhakgwebeom(樂學軌範)further by figuring out the basic notes(Gungs, 宮) of Sokak Chiljo(七調, Chilji七指) in the Geomungo Pyeongjo(平調) and Gyemyeonjo(界面調) Sanhyeongs(散形) in the book,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basic notes(Gungs) of Sokak(俗樂) Chiljo(Chilji) in the Geomungo, their component sounds, and resulting Johyeon techniques for the Geomungo based on a premise that Sokak Chiljo(Chilji) were Chilyul(七律) Chiljihyeong(七指形). The basic notes(Gungs) of Sokak Chiljo(Chilji) in the Geomungo Sanhyeong were Ilji(一指) Hyeopjong(夾鍾), Iji(二指) Jungryeo(仲呂), Samji(三指) Imjong(林鍾), Saji(四指, Hoingji橫指) Ichik(夷則), Oji(五指) Muyeok(無射), Yukji(六指) Cheonghwangjong(淸黃鍾), and Chilji(七指) Cheongtaeju(靑太簇). The basic note(Gung) of Chilji(Makmakjo) is 汰, but it is marked as 太 in the Chilji(Makmakjo) Geomungo Sanhyeong of Akhakgwebeom, which suggests that the basic note(Gung) of Yukji(Palpaljo) is 潢 and that it is marked as 黃 in Johyeon. When there was an agreement between the notes of Pyeongjo or Gyemyeonjo Sanhyeong and the component notes of 60 Jodo(調圖) in Akhakgwebeom, no match could be found between the component notes of Gyemyeonjo or Pyeongjo with the same basic notes(Gungs) not found in Sanhyeong and those of 60 Jodos in some cases. Good examples of this are Gyemyeonjo of Ilji, Gyemyeonjo of Saji(Hoingji), and Pyeongjo of Chilji(Makmakjo). This disagreement happens because the Yulbo of Geomungo Sanhyeong is presented in combinations of two notes according to Gongcheokbo and because they correspond to Ojogung. Even though Pyeongjo and Gyemyeonjo are in a pentatonic scale, the Sokak Chiljo(Chilji) of Geomungo Sanhyeong has Dorye(圖例) according to a heptatonic scale including Byeongung and Byeonchi. Tunes are different between Pyeongjo and Gyemyeonjo and between a pentatonic and heptatonic scale, but the Geomungo Goaes(棵) are arranged at a regular interval.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re is no agreement between the practice of the Geomungo and the theory of Sokak Chilji(Chiljo) in some parts. Gongcheokbo gives instructions for 12 Yuls(律) with eight letters including 合․四․一․上․勾․尺․工 and 凡. The Yulbo(律譜) of Geomungo Sanhyeong is based on Gongcheokbo(工尺譜) and is divided in seven units including Hwang(黃)/Dae(大)․Tae(太)/Hyeop(夾)․Go(姑)/Jung(仲)․Yu(蕤)/Im(林)/Yi(夷)․Nam(南)/Mu(無)․Eung(應). There is the repeating Dorye of 12 Yul Sacheongseong(四淸聲) according to Gongcheokbo regardless of the actual pitch of Geomungo Goaes, which is another part of disagreement with the actual practice of the Geomungo. There are seven basic notes(Gungs) of Sokak Chiljo(Chilji), but there are eight Johyeon(調絃) techniques for the Geomungo. Saji(Hoingji) is included both in Naksijo(樂時調) and Woojo(羽調, Wootjo). Despite the same scale, there are differences in Johyeon techniques between Naksijo and Woojo(Wootjo). The present study arranged the Geomungo Johyeon techniques in Akhakgwebeom based on the component sounds including the basic notes(Gungs) of Geomungo Sokak Chiljo(Chilji) as follows: Naksijo Ilji is 夾 for Muhyeon(武絃), Gigoaecheong(岐棵淸), Goaesangcheong(棵上淸) and Yuhyeon(遊絃), 夷 for Daehyeon(大絃), and 無 for Munhyeon(文絃). Iji is 仲 for Muhyeon, Gigoaecheong, Goaesangcheong and Yuhyeon, 無 for Daehyeon, and 黃 for Munhyeon. Samji is 林 for Muhyeon, Gigoaecheong, Goaesangcheong and Yuhyeon, 黃 for Daehyeon, and 太 for Munhyeon. Saji(Hoingji) is for Muhyeon, Gigoaecheong, Goaesangcheong and Yuhyeon, 大 for Daehyeon, and 夾 for Munhyeon. Woojo(Wootjo) Saji(Hoingji) is 夷 for Muhyeon, Gigoaecheong, Daehyeon, and Munhyeon and 夾 for Goaesangcheong and Yuhyeon. Oji(Woojo) is 無 for Muhyeon, Gigoaecheong, Daehyeon, and Munhyeon and 仲 for Goaesangcheong and Yuhyeon. Yukji(Palpaljo) is 黃 for Muhyeon, Gigoaecheong, Daehyeon, and Munhyeon and 林 for Goaesangcheong and Yuhyeon. Chilji(Makmakjo) is 太 for Muhyeon, Gigoaecheong, Daehyeon, and Munhyeon and 南 for Goaesangcheong and Yuhyeon.
한국어
본고에서는 『악학궤범』의 악조 이론을 보다 구체화 하는 것을 목적으로, 속악 칠조(칠지)는 칠율 칠지형이라는 전제 하에 거문고 속악 칠조(칠지)의 기본음(궁)과 그 구성음 그리고 그에 따른 거문고 조현법을 밝혔다. 거문고 산형의 속악 칠조(칠지)의 기본음(궁)은 일지 협종, 이지 중려, 삼지 임종, 사지(횡지) 이칙, 오지(우조) 무역, 육지(팔팔조) 청황종, 칠지(막막조) 청태주로 나타났다. 이에따른 구성음은 평조는 일지 夾ㆍ仲ㆍ(林)ㆍ夷ㆍ無ㆍ潢ㆍ(汰), 이지 仲ㆍ林ㆍ(南)ㆍ無ㆍ潢ㆍ汰ㆍ(姑), 삼지 林ㆍ南ㆍ(應)ㆍ潢ㆍ汰ㆍ姑ㆍ(蕤), 사지(횡지) 夷ㆍ無ㆍ(潢)ㆍ汏ㆍ浹ㆍ仲ㆍ(林), 오지(우조) 無ㆍ潢ㆍ(汰)ㆍ浹ㆍ仲ㆍ林ㆍ(南), 육지(팔팔조) 潢ㆍ汰ㆍ(姑)ㆍ仲ㆍ林ㆍ南ㆍ(應), 칠지(막막조) 汰ㆍ姑ㆍ(仲)ㆍ林ㆍ南ㆍ應ㆍ(潢)이다. 계면조는 일지 夾ㆍ(仲)ㆍ蕤ㆍ夷ㆍ無ㆍ(潢)ㆍ汏, 이지 仲ㆍ(林)ㆍ夷ㆍ無ㆍ潢ㆍ(汰)ㆍ浹, 삼지 林ㆍ(南)ㆍ無ㆍ潢ㆍ汰ㆍ(姑)ㆍ仲, 사지(횡지) 夷ㆍ(無)ㆍ應ㆍ汏ㆍ浹ㆍ(仲)ㆍ蕤, 오지(우조) 無ㆍ(潢)ㆍ汏ㆍ浹ㆍ仲ㆍ(林)ㆍ夷, 육지(팔팔조) 潢ㆍ(汰)ㆍ浹ㆍ仲ㆍ林ㆍ(南)ㆍ無, 칠지(막막조) 汰ㆍ(姑)ㆍ蕤ㆍ林ㆍ南ㆍ(應)ㆍ汏이다. 평조와 계면조 칠조(칠지)의 구성음은 『악학궤범』 권1의 60조도를 기준으로 확인했는데, 『악학궤범』 거문고의 평조 혹은 계면조 산형의 음이 60조도의 구성음과 일치해도, 산형이 제시되어 있지 않은 동일한 기본음(궁)을 가진 계면조나 평조의 구성음이 60조도의 구성음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있었다. 일지의 계면조, 사지(횡지)의 계면조, 칠지(막막조)의 평조가 그 예인데, 이러한 불일치가 생기는 이유는 거문고 산형의 율보가 공척보를 기준으로 두 음씩 결합, 제시된 경우가 있고, 이것이 오조궁과 대응되어 있기 때문으로 보았다. 평조와 계면조는 5음계이지만, 거문고 산형의 속악 칠조(칠지)는 변궁․변치를 포함한 7음계를 기준으로 도례되어 있다. 평조와 계면조의 음정이 같지 않고, 5음계와 7음계의 음정이 서로 다른데, 거문고 괘는 대체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어 거문고 실제와 속악 칠지(칠조) 이론과 일치하지 않는 부분이 있다고 보았다. 또 공척보는 合․四․一․上․勾․尺․工․凡의 여덟 자로 12율을 지시하나, 거문고 산형의 율보는 공척보를 기준으로 하되, 황/대ㆍ태/협ㆍ고/중ㆍ유/임/이ㆍ남/무ㆍ응의 일곱 단위로 구분되어 있었다. 그리고 거문고 괘의 실제 음고와 관계없이 공척보 기준으로 12율 사청성을 반복 도례해 놓았기 때문에 이 또한 거문고 실제와 일치하지 않는 점임을 알 수 있었다. 속악 칠조(칠지)의 기본음(궁)은 일곱 종류이지만, 거문고 조현법은 여덟 종류이다. 사지(횡지)는 낙시조에도 포함되고 우조(웃조)에도 포함되는데, 음계는 동일하지만, 낙시조와 우조(웃조)의 조현법은 서로 다르다. 이와 같은 거문고 속악 칠조(칠지) 기본음(궁)을 포함한 구성음을 바탕으로 『악학궤범』 거문고 조현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낙시조 일지는 무현ㆍ기괘청ㆍ괘상청ㆍ유현 夾, 대현 夷, 문현 無이다. 이지는 무현ㆍ기괘청ㆍ괘상청ㆍ유현 仲, 대현 無, 문현 黃이다. 삼지는 무현ㆍ기괘청ㆍ괘상청ㆍ유현 林, 대현 黃, 문현 太이다. 사지(횡지)는 무현ㆍ기괘청ㆍ괘상청ㆍ유현 夷, 대현 大, 문현 夾이다. 우조(웃조) 사지(횡지) 무현ㆍ기괘청ㆍ대현ㆍ문현 夷, 괘상청ㆍ유현 夾이다. 오지(우조)는 무현ㆍ기괘청ㆍ대현ㆍ문현 無, 괘상청ㆍ유현 仲이다. 육지(팔팔조)는 무현ㆍ기괘청ㆍ대현ㆍ문현은 黃, 괘상청ㆍ유현은 林이다. 칠지(막막조)는 무현ㆍ기괘청ㆍ대현ㆍ문현은 太, 괘상청ㆍ유현은 南이다. 다만 칠지(막막조)의 기본음(궁)은 汰인데, 『악학궤범』 칠지(막막조) 거문고 산형에는 太로 되어 있다. 이로 미루어 육지(팔팔조)도 기본음(궁)은 潢이지만, 조현은 黃으로 하는 것으로 추정했다.
목차
Ⅰ. 서론
Ⅱ. 『악학궤범』 거문고 산형 분석
1. 평조 일지 산형 분석
2. 계면조 이지 산형 분석
3. 삼지의 구성음과 조현법
4. 사지(횡지) 산형 분석
5. 오지(우조)의 구성음과 조현법
6. 육지(팔팔조)의 기본음(궁)과 구성음 및 조현법
7. 칠지(막막조) 산형 분석
Ⅲ.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