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경남 산청군 내 천연활엽수림을 대상으로 실시한 숲가꾸기 사업의 수원함양기능 분석

원문정보

Analysis of the effect of forest conservation in a natural broad-leaved forest

박성균, 박재현, 최형태, 임홍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conducted a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the actual rainfall and run-off amount before and after the forest cultivation project (2013-2017) and after the project (2019) in order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the natural forest cultivation project in the Doyu Forest located in Unri Mountain 147, Dansung-myeon, Sancheong-gun, Gyeongsangnam-do.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actual outflow was less than that calculated using the regression formula from February to April, but in May and July, the actual outflow was about 1.1 times higher than the return amount. From February to April, when the amount of run-off was low, it was judged to be the result of the failure of the difference in the amount of water pipe cut-off and evaporation acid in the forest by forest cultivation in this forest basin. The pH before the forest cultivation project averaged 6.83, and in 2019, it was similar to 6.86, showing clean mooring numbers. Electric conductivity (EC, μs/cm) averaged 30.7 ss/cm before the forest cultivation project and 24.7 /s/cm in 2019, which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 average annual soil outflow before the forest cultivation project was about 0.9t/ha/yr, and the soil outflow in 2019 when the forest cultivation project was completed was about 1.1t/ha/yr, an increase of about 0.2t/ha/yr, which was judged to be due to rainfall erosion caused by forest reclamation, which was similar to annual soil erosion from natural forests.

한국어

본 연구는 경남 산청군 단성면 운리 산 147에 위치한 도유림 내 천연림의 숲가꾸기 사업 효 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숲가꾸기 사업 전(2013-2017년)과 사업 후(2019년)의 실제 강우량과 유출량을 토대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한 결과, 2월부터 4월까지는 회귀식을 이용해 산 정한 유출량보다 실제 유출량이 적었지만 5월과 7월의 경우 실제 유출량이 회귀량보다 약 1.1 배 높게 나타났다. 유출량이 적었던 2월부터 4월까지는 본 산림유역에서 숲가꾸기에 의한 숲의 수관차단량 및 증발산량의 차이가 발휘되지 않은데 기인한 결과로 판단되었다. 숲가꾸기 사업 전의 pH는 평균 6.83이었고, 2019년에는 평균 6.86으로 유사하게 나타나 청정한 계류수로 나 타났다. 전기전도도(EC, μs/cm)는 숲가꾸기 사업 전 평균 30.7 μs/cm, 2019년 평균 24.7 μs/cm로 큰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숲가꾸기 사업 전의 연평균 토사유출량은 약 0.9t/ha/yr이 었으며, 숲가꾸기 사업이 종료된 2019년의 토사유출량은 약 1.1t/ha/yr으로 약 0.2t/ha/yr이 증가하였는데, 이는 숲가꾸기로 인한 임지 개활에 따른 강우침식에 의한 영향으로 판단되며, 토사유출량은 자연적인 산림에서 발생하는 연간토사유출량과 유사하였다.

목차

요약
ABSTRACT
I. 서론
II. 재료 및 방법
1. 연구대상지
2. 숲가꾸기 사업
3. 연구방법
Ⅲ. 결과 및 고찰
1. 시험유역의 숲가꾸기 전과 후의 유출특성 분석
3. 시험유역의 수질특성
4. 시험유역의 토사유출 특성
Ⅳ.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박성균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박재현 Jae-Hyeon Park.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최형태 Hyung-Tae Choi.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수자원연구실
  • 임홍근 HongGuen Lim.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수자원연구실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