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플렉서블 아이덴티티를 적용한 지자체 CI 개선 방안 - 평택시 사례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Local Government CI Improvement Plan with Flexible Identity - Focused on Pyeongtaek City CI -

민지영, 석승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Many modern cities are making efforts to visualize and promote the identity of the region through the City Identity (CI) with differentiated image strategies. The core of CI is to convey the city's positive image to its inmates. It seeks to differentiate itself from other cities and aims for its image in the profit dimension of the city. Failing to keep up with this trend, the Pyeongtaek CI has yet to come up with a new alternative since it was produced in 1995. Therefore, it does not reflect the current image of Pyeongtaek and its vision for the future. Application design is also very low because it is not diverse.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s and analyzes the CI status of local governments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facing the brand of Pyeongtaek City, and redesigns the existing CI with a modern sense while maintaining continuity as a way to improve it. By applying the variable identity system to the application design linked to this, the fundamental method for strengthening the city brand in Pyeongtaek is emphasized. In addition, a design strategy has been set up so that the collaboration of citizens, administration, regions and experts can create a complementary synergy effect for the development of local brands. The new CI in Pyeongtaek will not merely visualize the image of the region, but will be able to establish itself as elements that can promote and commercialize city brands.

한국어

현대의 많은 도시들은 차별화된 이미지 전략으로 CI(City Identity)를 통해 그 지역의 정체성을 시각화하여 홍보하려는 노력들을 기울이고 있다. CI의 핵심은 그 도시의 긍정적인 이미지를 수용자에게 전달하는 것이다. 이는 다른 도시와의 차별화를 꾀하고 도시 그 도시의 이익차원에서의 이미지를 지향한다. 이러한 흐름에 편승하지 못한 평택시 CI는 1995년에 제작된 이래 아직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현재 평택의 모습과 미래의 비전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응용디자인 또한, 다양하지 못하여 그 활용성도 매우 낮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 평택시의 브랜드가 직면하고 있는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지자체들 CI 현황을 조사 및 분석하고, 이에 대한 개선 방안으로 기존 CI를 지속성은 유지하면서 현대적 감각으로 리디자인 한다. 이와 연계한 응용디자인을 가변적 아이덴티티 시스템을 적용하여 평택시 도시 브랜드 강화를 위한 근본적인 방법을 강조한다. 또한, 지역 브랜드 개발을 위해 시민, 행정, 지역, 전문가의 협업이 상호보완적으로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도록 디자인 전략을 세웠다. 평택시의 새로운 CI는 단순한 지역의 이미지를 시각화하는 것이 아닌 도시 브랜드를 홍보하고 상품화시킬 수 있는 요소들로 자리 매김 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 배경 및 목적
1.2. 연구 방법
2. 이론적 배경
2.1. 도시 정체성과 브랜드
2.2. 도시 이미지와 브랜드 아이덴티티
2.3. 도시 브랜드와 플렉서블 아이덴티티 디자인
3. 평택시의 현황
3.1. 평택시 현황 분석
3.2. 평택시 CI 분석
3.3. 종합분석
4. 평택시 CI 디자인개발
4.1. 디자인 키워드 및 방향 설정
4.2. 디자인 프로세스
4.3. 디자인 개발
5.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민지영 Min, Ji Young. 건국대학교 시각영상디자인학과 겸임교수
  • 석승민 Seok, Seung Min. 평택시청 도시재생전문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