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지역 특산물 인지도 구축을 위한 스토리텔링 연구 - 춘천 연옥(軟玉)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Storytelling for Regional Product Perception - Focusing on ChunCheon Nephrite -

조소영, 남용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world’s only white nephrite mountain is located at Wolgok-li, Dong-myeon, Chuncheon-si and Daeil Mining Company has developed and provided a variety of products using Chuncheon nephrite stone as well as service. To improve awareness of nephrite stone which is regional speciality of Chuncheon and increase its value, this study selects several good cases of regional character such as ‘Big Baby in Ulsan-si’, ‘Goyang Cat in Goyang-si’and ‘Goma Bear & Princess in Gongju-si’ to carry out case study and analyze, particularly focusing on their storytelling and strategy. Analysis results show that storytelling of these three cases interconnects various characteristics of region in pursuit of distinction and regionality and also, SNS and offline activity for regional promotion are continuously exposed to local people and tourists through personification of character so that they can feel more familiar with and improve awareness. Such research findings are applied to improve awareness in Chuncheon nephrite stone. After 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Chuncheon nephrite stone and the lakeside city, these two subjects are associated with ‘water’. If taking the image of lakeside city and using the story to expose Chuncheon nephrite stone which is regional specialty through online and offline activity to local people and tourists continuously, it comes up with distinction from other regions and increase value of Chuncheon, the lakeside city and its regional specialty, nephrite stone as well.

한국어

춘천 동면 월곡리는 세계 유일 연옥(백옥) 광산이 있으며 대일 광업에서는 춘천 연옥을 활용한 제품 개발 및 판매, 다양한 서비스 제공하고 있다. 춘천 특산물인 연옥의 인지도 및 가치 상승을 위해 지역 캐릭터 중 우수사례인 울산광역시 ‘울산큰애기’ ․ 고양시 ‘고양고양이’ ․ 공주시 ‘고마곰과 공주’의 스토리텔링 및 활용 전략 중심으로 사례조사 및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세 사례의 스토리텔링은 지역 속 여러 특성을 연계하여 타 지역과 변별성 및 지역성을 두었으며 의인화를 통해 SNS와 지역 홍보를 위한 오프라인 활동을 지역민과 관광객에게 지속적으로 노출하여 친근감 및 인지도를 형성 하였다. 이를 춘천 연옥의 인지도 구축을 위해 적용하였다. 춘천 연옥과 춘천시의 특성인 호반의 도시를 조사한 결과 두 소재는 ‘물’과 연계됨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춘천시 호반의 도시 이미지와 연계하여 춘천 특산물 춘천 연옥을 스토리를 활용하여 온라인과 오프라인 활동을 지역민과 관광객에게 지속적으로 노출할 경우 타 지역과 변별성을 가질 수 있으며 춘천시 호반의 도시로서의 가치뿐만 아니라 춘천 특산물인 연옥의 가치와 인지도 또한 상승할 것이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배경 및 목적
1.2. 연구범위 및 방법
2. 지역 캐릭터와 스토리텔링
2.1. 선행연구 고찰
2.2. 춘천시 캐릭터 현황
2.3. 지역 캐릭터 유형 분류
3. 지역 캐릭터 사례의 스토리텔링 및 활용 전략
3.1. 울산광역시 ‘울산큰애기’
3.2. 고양시 ‘고양고양이’
3.3. 공주시 ‘고마곰과 공주’
4. 춘천 연옥의 스토리텔링 및 활용 전략
4.1. 춘천 연옥의 특성
4.2. 춘천시의 특성
4.3. 춘천 연옥과 춘천시 특성의 공통점
5.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조소영 Cho, So Young. 강원대학교 대학원 디자인학과 석사과정
  • 남용현 Nam, Yong Hyun. 강원대학교 디자인학과 명예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