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특집 : 복수로서 연구자와 방법론, 현장을 재탐구하기

지리학 현장연구에 대한 여성주의적 성찰 : 박사과정 여성연구자의 위치성과 권력 관계

원문정보

Feminist Reflection on Geography Fieldwork : Positionality and Power Relations of Female Doctoral Student

김수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an attempt to reflect on the fieldwork experience that researcher conducted while writing doctoral dissertation, with the view that researcher should be emphasized as part of both researcher and participants rather than being absolute and objectiv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searcher is not an absolute being that always remains neutral and objective in the process of research. Second, research participants are not passive objects that exist to provide the necessary information, but are active agents who engage in the research process, performing horizontal or hierarchical relationships with researcher in accordance with their context. In fieldwork, some research participants continue to check whether their remarks are appropriate to meet the goals or hypotheses of the research set by the researcher while some participants attempt to take the initiative in interviews and control the researchers using the situation of the ‘researcher who is in dire need of an interview.’ Third, the argument that the process of knowledge production, which is reproduced in papers and publications after rigorous field research, will be disembodied and objective is a kind of fantasy and god’s trick in that it goes through the process of translating into the language of researcher.

한국어

본 연구는 연구란 절대적이며 객관적이기보다는 연구자와 연구참여자 모두 연구의 일 부분으로 강조되어야 한다는 관점을 견지하면서, 연구자가 박사학위 논문을 집필하면서 수행한 현장연구(fieldwork) 경험을 성찰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여전히 객관적 관찰자로서 의 연구자를 당연시하고 교육·훈육하는 관행에 비판적 질문을 던지고자 한 글이다. 본 연 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자는 연구 과정에서 항상 한 발 떨어져 중립을 지키고 객관성을 유지하는 절대적 존재가 아니라, 연구 과정에서 끊임없이 재구성되고 연구에 개 입하는 주관적이며 부분적인 주체라 할 수 있다. 둘째, 연구참여자들은 연구자가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 존재하는 수동적인 객체가 아니라 각자가 처한 상황적 맥락에 따 라 경계를 넘나들고 연구자와 수평적 또는 수직적 관계 맺기를 수행하며 연구 과정에 개입하는 능동적 주체다. 연구 과정에서 연구참여자들은 자신의 발언이 ‘연구자’가 세운 연구 의 목표나 가설에 부합하는 적절한 것인지 지속적으로 확인하는 모습을 보이는 한편, ‘면 담이 절실한 연구자’의 상황을 이용해 면담의 주도권을 획득하고 오히려 연구자를 통제하 려고 시도하기도 한다. 셋째, 엄밀한 현장연구를 거쳐 논문과 출판물로 재현되는 지식 생 산의 과정이 탈체현적이며 객관적일 것이라는 주장은 연구자의 언어로 번역되는 과정을 거친다는 점에서 일종의 환상이자 신의 속임수라 할 수 있다.

목차

요약
1. 서론
2. 연구에서의 자기성찰과 위치성
3. 연구 방법 및 과정
1) 연구 방법 및 대상으로서의 자문화기술지
2) 연구 설계와 면담자 섭외 과정에서의 연구자 ‘나’
4. 현장연구에서 경험하는 여성 연구자의 위치성과 권력 관계
1) ‘내부자’와 ‘외부자’ 사이에서 변화하는 연구자의 위치
2) 연구자-연구 대상자의 권력 관계와 연구자의 취약성
3) 연구의 해석과 ‘번역’의 문제
5. 결론
Abstract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수정 Su-Jeong Kim. 전남대학교 지리교육과 박사후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