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특집 : 복수로서 연구자와 방법론, 현장을 재탐구하기

지리학계에 보내는 편지 : 지리학과를 떠난 두 여성 연구자의 이야기

원문정보

A Letter for Academia of Geography : Stories of Two Women Graduate Students Who Left the Department of Geography

정희성, 조규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reveals gendered disciplinary power in Korean geography which is hetero-normative and male-dominated by analyzing two women researchers’ experiences using collaborative autoethnography methodology. We analyze our experiences and feelings that we faced in academic spaces, such as lecture rooms, labs, conferences, and wrap-up parties to explore gendered disciplinary power that works in micro level. Through our experiences inside and outside of the lab, the basic unit of academic community, this study investigates which knowledge would be considered more important and meaningful under gendered surveillance over daily academic activities and how women researchers are disciplined through processes of knowledge construction. In addition, this study questions about the objectivity of knowledge and scientific strictness by utilizing researchers’ experiences as data. To this end, this study proposes critical discussions about gendered power in the academia of geography. Then we discuss our main methodology named collaborative autoethnography in detail. The experiences of two authors are analyzed in a parallel structure in order to avoid describing several stories as one by erasing the differences. We put epilogue which is unusual part in a research paper at the end of this paper. Epilogue makes our paper not just parallel, but also leads for reader to reflect on themselves and seek the possibility of solidarity as an extension of ‘collaborative’ autoethnography methodology.

한국어

본 연구는 같은 지리학과에서 석사과정을 마친 두 여성 연구자의 경험을 데이터로 이성 애규범적이고 남성중심적으로 구축된 지리학계의 젠더화된 규율권력을 협력 자문화기술 지(collaborative autoethnography) 방법을 통해 분석한다. 두 저자는 강의실, 연구실, 학 회장, 뒤풀이 장소 등 지리학과의 일상적 공간에서 겪은 경험을 분석하며 지리학계가 여성 연구자를 훈육하고 규율하는 방식을 드러내고, 이를 통해 한국의 지리학계가 어떤 지식을 중요하고 의미 있는 지식으로 승인하고 관리하는지를 탐문한다. 이를 위해, 먼저 지리학계 의 남성중심성을 비판하는 논의의 계보와 여성 대학원생의 위치성에 대한 논의를 살피며 본 연구의 필요성을 타진한다. 다음으로는 방법론으로서의 협력 자문화기술지에 대해 자 세하게 논의하며 지식의 객관성과 과학적 엄정성에 대해 질문한다. 본문에서 두 저자의 경 험은 병렬적으로 분석되었으며, 이는 여성 연구자의 경험을 분석하는 데 대해 차이를 소거 한 채 단일한 것으로 설명하지 않기 위함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논문에서는 다소 생경할 수 있는 에필로그를 도입하여, 두 저자의 경험을 병렬적으로 분석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협력 자문화기술지에서 협력의 의미를 성찰하여 독자로 하여금 성찰과 연대의 가능 성을 함께 모색할 수 있도록 논문을 구성하였다.

목차

요약
1. 서론
2. 선행연구: 지리학계 내 젠더화된 권력과 여성 대학원생의 위치성
3. 방법론: 자문화기술지의 분석적 의미와 효과
1) 자문화기술지, 객관성에 대한 재사유의 실천
2) 자문화기술지, 구조와 상호작용하는 감정을 분석하는 틀
3) 자문화기술지, ‘규혜/희성’과 ‘나, 우리, 그녀’
4) 자문화기술지, 사회문화적 맥락을 분석하는 과정으로서 연구윤리
5) 자문화기술지, 여성 연구자의 단일한 위치성에 대한 거부
4. 희성의 이야기
5. 규혜의 이야기
6. 결론
Abstract
참고문헌

저자정보

  • 정희성 Jung, Heesung. 연세대학교 문화인류학과
  • 조규혜 Cho, Kyuhye. 한국예술종합학교 극작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