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윤리적 타자가 출현하는 디지털 카메라의 시점에 관한 연구 - 한국 자기초상 디지털 비디오 예술을 중심으로(김세진, 김동령, 흑표범, 제인 진 카이젠, 임덕윤)

원문정보

A Study of Digital Camera Perspectives in Which Ethical Others Emerge - Focused on Digital Video Art of Self-Portrait in Korea (KIM Se-jin, KIM Dong-ryung, Black Jagur, Jane Jin Kaisen, LIM Deok-yoon)

김연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aper examines the perspectives used in Korean self-portrait digital video art, dividing the perspectives in which ethical others could emerge into four types and analyzing the possibilities of each type in the Korean self-portrait digital video art. The four viewpoints in self-portraits examined here are the self-subjective viewpoint, the other-observer viewpoint, the self-other performativity viewpoint, the other-self producer viewpoint. In addition, a combined type with a hybrid viewpoint is considered. The self-subjective viewpoint refers to when the self sees itself subjectively. This represents the desires of social others, irreproducibility in reality but emerging in digital camera imagery. The other-participant observer viewpoint arises when the camera operator observes and creates a video of himself as a social other or uses social others as characters instead of himself. The operator can be summoned to the camera as one among others who can visualize the lives of social others as a place/existence through conversion into an ethical subject that responds ethically to the call of social others. Third, the self-others performativity perspective refers to point of recognizing that oneself is the other and of carrying out the performance of the other’s body language, objects, and placeness. This point of view reveals the contradiction of the same person-centered representation system by the operator intentionally visualizing and performing his otherness repeatedly. Fourth, the others-self producer point of view is a viewpoint in which the operator moves to the position of an active producer via the intervention of the camera of a third part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f the operator. The viewpoint of the other-self also reveals the violence of the gazing power of the same person while winning the gazing power Lastly, this study will analyze works with multi-view types that can be used by variously transforming the above four viewpoints into one type and examining the corresponding possibilities.

한국어

이 논문은 한국 자기초상 디지털비디오 작품에서 활용된 시점들을 추적하여 윤리적 타자가 출현할 수 있 는 시점을 네 가지 유형으로 나누고 한국 자기초상 디지털 비디오 작품을 통해 그 가능성을 분석해보았 다. 이 논문에서는 자기초상의 네 가지 시점 유형으로 자기-주관적 시점, 타자-관찰자 시점, 자기-타자 수행성 시점, 타자-자기 생산자 시점, 한 작품에 사용된 디지털 카메라의 네 가지 시점 등을 차례로 살 펴보았다. 첫째 자기-주관적 시점은 자기(self)가 자신을 주관적으로 바라보는 시점이다. 이 시점은 현실 에서 재현불가능성을 지닌 사회적 타자가 욕망하는 타자로 디지털 카메라에 출현한다. 둘째 타자-참여관 찰자 시점은 작업자가 사회적 타자인 자기 자신을 참여 관찰하며 담아내거나, 자신이 아닌 사회적 타자 를 등장인물로 담아내는 시점이다. 작업자는 사회적 타자의 부름에 윤리적으로 응답하는 윤리적 주체로 전환됨으로써 사회적 타자의 삶을 실재하는 장소/존재로 가시화할 수 있는 타자로 카메라에 소환할 수 있다. 셋째 자기-타자적 수행성 시점은 자기 스스로가 타자임을 인식하고 자신의 몸짓, 사물들, 장소성 등의 수행성을 관철시켜 나가는 시점이다. 이 시점은 작업자가 의도적으로 자신의 타자성을 반복적으로 가시화하고 수행함으로써 동일자 중심의 재현체계가 가진 모순을 드러낸다. 넷째 타자-자기로서의 생산 자 시점은 작업자의 의도로 제3자의 카메라가 개입되어 작업자가 능동적인 생산자로서의 위치로 이동되 는 시점이다. 타자-자기로서의 시점은 시선 권력을 쟁취하면서 동일자의 시선 권력의 폭력성을 들춰내기 도 한다. 마지막으로 위의 네 가지 시점을 한 작품에 다양하게 변용하여 활용할 수 있는 다시점 유형을 가진 작품을 분석하여 그 가능성도 고찰해보고자 한다.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1. 서론
2. 본론
2.1. 타자의 현전으로서의 '대상 a'와 자기초상(Self Portrait)의 네 가지 시점 유형
2.2. 자기초상(Self Portrait)의 네 가지 시점 유형과 작품 분석
2.3. 시점이 융합된 다시점 유형과 작품 분석
3.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연호 Kim, Yeun Ho. 한국예술종합학교 겸임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