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사물-되기 : 정동 및 ‘횡단신체성’과 ‘격물치지’에 관한 연구 - 얀 슈반크마이에르(JanŠvankmajer)의 < FOOD >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Being-Things : Study on Affect, ‘Trans-Corporeality’ and Zhu Xi’s ‘Gaining Knowledge by the Study of Things’ - Focused on the Jan Švankmajer’s < FOOD >

김정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nterprets Jan Švankmajer's animated film in a convergent context of affect, ‘trans-corporeality’ and Zhu Xi's ‘gaining knowledge by the study of things’, which explores the meaning of 'being-things'. I define 'being-things' as in Švankmajer's artistic intention and use it as the basis for evaluating the artistic success value of . In my opinion, new materialism and affect theory, active since the 1990s, share the issues of 'being-things'. In his home country of Czechoslovakia, Švankmajer has built his own unique art world quite different from the mainstream of contemporary art in the United States and Western Europe since the 1970s. From the end of the 1990s, when new materialism and affect theory formed the discourse in earnest, his works began to draw attention in the western art world. In 2020, from the perspective of Western thought, especially in relation to new materialism and affect theory, Švankmajer presented highly pioneering artworks. The ‘being-things' in realize the imaginary potential of film media through a pixilation technique of characters (Kittler & Deleuze), discusses the aesthetics of society through the effects of food (Highmore), and equalizes things with human through the trans-corporeality of food (Alaimo). These concepts can be linked to Neo-Confucianism, especially Zhu Xi's ‘gaining knowledge by the study of things’ among Oriental philosophy, which has considered the problems of consciousness and matter, i.e., mind and body. Švankmajer's artwork series entitled Natural History is the result of an artistic exploration of ‘gaining knowledge by the study of things’ and ‘being-things’, which is a type of the artist’s encyclopedia of things. This study, focusing on 'being-things', represents an artistic and academic exploration that provides an alternative to the dichotomous approach of matter and consciousness by traversing the thoughts of the West or the East. It is hoped that this study be the basis for further research by the author related to the mind-body problem.

한국어

본 연구는 얀 슈반크마이에르의 애니메이션 작품 를 정동 및 횡단신체성과 격물치지의 복합적 맥락에서 해석하고 ‘사물-되기’의 의미를 탐구한다. 필자는 ‘사물-되기’를 슈반크마이에르의 예술적 의도로 추정하고 의 예술적 성공 가치의 평가 근거로 삼는다. 1990년대부터 등장한 신유물론과 정동이론 등은 ‘사물-되기’의 문제의식을 공유하고 있다. 슈반크마이에르는 그의 조국 체코슬로바키아에서 1970년대부터 미국과 서구 중심의 주류 예술계의 흐름과는 전혀 다른 독특한 작품 세계를 구축해 왔다. 신유물론과 정동이론이 그 담론을 본격적으로 형성해 가던 1990년대 말부터 서구에서 뒤늦게 그의 작품 세계가 주목받기 시작한다. 2020년 현재 서구 사상 특히 신유물론이나 정동이론의 관점에서 볼 때, 슈반크마이에르는 매우 선구적인 예술 작품을 선보였다. 의 ‘사물-되기’는 등장인물의 픽실레이션 기법을 통해 영화 매체의 가상성을 실재화하거나(키틀러), 음식의 정동을 통해 사회의 미학을 논하고(하이모어), 음식의 횡단신체성을 통해 나와 사물을 동등하게 만든다(앨러이모). 이러한 태도는 의식과 물질 즉 심-신의 문제를 고찰해온 동양철학 중 신유학 특히 주희의 ‘격물치지’와 연결된다. 슈반크마이에르의 자연사 연작은 격물치지와 ‘사물-되기’라는 예술적 탐험의 결과물이자 예술가의 사물 백과사전이다. 본 ‘사물-되기’ 연구는 동서양의 사상을 횡단적으로 검토함으로써 물질과 의식의 이분법적 접근 방법에 대한 대안을 마련하는 예술학적 탐구가 될 것이며 관련 후속 연구의 토대가 될 것이다.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1. 서론
1.1. 논문의 배경
1.2. 연구방법
2. 본론
2.1. 아침 식사, 키틀러의 영화의 가상성과 들뢰즈의 ‘가능적인 것의 실재화’
2.2. 점심 식사, 벤 하이모어의 음식과 사회미학
2.3. 저녁 만찬, 스테이시 앨러이모의 ‘횡단신체성’
2.4. 주희의 ‘격물치지’와 슈반크마이에르의 ‘자연사(Natural History)’
2.5. 실물동화(實物動畵)와 행위력의 분산배치를 통한 사물-되기
3.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정한 Kim, Jeong Han. 서울여자대학교 현대미술과(전공)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