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조선조 기설제의 연구-서울대 규장각본 『기우제등록』의 기록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the ritual for Snow in the Joseon Dynasty-Based on the records of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Kyujanggak 『Giuje-dengrok Archive』

심호남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Joseon was an agricultural country based on Confucianism and held climate ceremonies based on "the theory of sensation between heaven and man". It has been believed that heaven responds to human behavior according to "the theory of sensation between heaven and man " and thus sets the pattern of climate protocol. Among them, records related to the ritual for snow are very rare. The main library studied and analyzed the records and articles related to ritual for snow in the 祈雨祭謄錄(Giuje-dengrok Archive), which collected data on climate rituals for about 250 years from King Injo's 14th year (1636) to King Gojong's 26th year (1889). Looking at the background of the implementation,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carried out in the late Joseon period to prevent insect infestation and to promote a good harvest for the following year, prevent winter droughts, and protect crops from being damaged by cold weather. Although the ritual was greatly influenced by the style of rain ritual in terms of ritual step and location, it was only carried out in Confucian rituals, rather than non-Confucian methods. In contrast to the rain ritual, the ritual for snow does not show the king's participation. This seems to be due to the damage to the king's honor and difficulties in follow-up measures if the king's participation did not have any effect. “writings for snow calling ceremony” is recorded as 4word-poetry in total and does not differ much from the principles of writing for rain ceremony.

한국어

조선은 유교를 국시로 한 농업 국가로 “天人感應說”에 입각한 기후 의례를 실시 했다. “天人感應說”에 따라 인간의 행동에 하늘이 반응한다고 믿어왔고 이에 따라 기후 의례의 양식을 정했다. 그 중 기설제와 관련된 기록은 매우 드문 편이다. 본 고는 인조 14년(1636)부터 고종 26년(1889)까지 약 250년간의 기후의례에 관한 자 료를 모아둔 祈雨祭謄錄 내의 기설제 관련 기록과 기설제문을 연구분석하여 조 선조 기설제의 양상을 어느 정도 밝혀내었다. 실시 배경을 살펴보면 조선후기 극 심한 기상이변 속에서 병충해를 예방하여 다음 해의 풍년을 도모함 및 겨울 가뭄 예방, 보리의 寒害예방을 위해 실시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제차와 제장 면에서는 기 우제의 양식에서 크게 영향을 받았으나 비유교적인 방식은 버리고 유교의례 방식 으로만 진행되었다. 기우제와는 달리 기설제는 국왕의 친제는 보이지 않는다. 이는 국왕의 친제에도 불구하고 효험이 없었을 경우의 체모의 손상과 후속 조치의 어려움의 이유로 보인다. 祈雪祭文은 모두 4언시로 기록되었으며 기우제문의 작성 원리와 크게 다르지 않음을 보인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기설제의 배경
Ⅲ. 祭次와 祭場
Ⅳ. 기설제문의 특성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심호남 Shim, Ho-nam. 중앙대학교 다빈치교양대학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