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
This paper tries to explore the problem of correlationship between and by Heo, Kyun(許 筠). In Chapter 2, I devide into three paragraphs, and examine content characteristics of each paragraph. And I schematize them in a brief sentence. As a result, we know that this article is well-organized. Firstly, organic features are as follows : 1) After topic is presented in introduction, this topic is re-emphasized in the conclusion. 2) Writer presents the case of China first, and explains the case of Choseon(朝鮮) Dynasty later. 3) Writer deals with the wide scopes of subjects first, and treats the narrow ones later. Next, content features are as follows : 1) Writer claims that Royal court must appoint the offices to the talented for the sake of the state. 2) Them of this article is the wide recruitment of talents, the proper distribution of duties and the continuity of the country’s fortune. In Chapter 3, I search the materials previous King Gwangheagun(光 海君) on the Seo-eol(庶孼)’s allowance of examination in the Sillok(實 錄), and compare those with . As a result, I find out much materials, and know that contents in materials are similar to . I think that writer Heo, Kyun refers to those materials on composing . In Chapter 4, because I think that the main character’s remarks and behavior reflect author’s ones, I arrange the Hong-gildong(洪吉童)’s speakings about a discriminative treatment of Seo-eol in this work. I ascertain that Gildong’s speakings in the family and the state are 1) the dissatisfaction about the prohibition of the calling to his father and elder brothers, 2) a discriminative treatment in family. In addition to those dissatisfactions, he have ambition to be a military general, a Byeong-Jo minister(兵曹判書). By the way, the main character’s those desires are hard to find out in , and there is a wide gap between the two. I jude that Gildong can complain of a discriminative treatment to father and king since a middle 1700s. And the problem of the appointment of an important position is relevant to the historical conditions such as by measures of many kings from 1823 to 1851. Considering these points, such Gildong’s demands cannot be thought of at the 16th and the beginning of the 17th century. Through the above discussion, arguments in are not Heo, Kyun’s own, special and progressive thoughts. So especially the problem about the prohibition of the calling to his father and elder brothers and ambition to be a military general in must not be connected with .
한국어
본고는 허균의 <유재론>과 소설 <홍길동전>의 상관성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작성된 것이다. 제2장에서는 <유재론>의 내용을 세 단락으로 나누고, 각 단락의 내용적 특징을 살피면서 이를 간단한 문장으로 도식화하였다. 먼저, 이 글의 구성 상 특징으로는, 첫째 서론에서 제시한 주제를 총결에서 다시 한 번 강조함으로써 논지를 강화한 점, 둘째, 논의의 범위를 먼저 본론1에서 넓은 성격의 ‘일반적인 인 재등용의 문제’를 다룬 뒤 본론2에서 좁은 성격의 ‘특정한 인재등용의 문제’를 거론 한 점, 셋째 주장의 근거를 제시할 때 중국의 경우를 먼저 제시하여 자신의 견해의 타당성을 보여준 뒤 그렇지 못한 우리의 경우를 제시하는 방식을 사용한 점, 넷째 중국과 조선의 사례를 상호 대비 및 대조하며 제시한 점 등을 추출하였다. 다음, 내용상 특징으로는, 첫째 ‘인재를 잘 등용해야 나라의 운수가 계속 유지된다’는 ‘국 가적 인재관’을 드러내며, 둘째 이 글의 논지 곧 주제가 ‘서얼허통’에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오히려 ‘귀천을 가리지 않는, 폭넓은 인재의 등용과 적재적소의 임무 부 여를 통해 국가의 운수를 유지해야 한다.’는 것에 놓여있음을 지적하였다. 제3장에서는 실록에서 광해군 초기 이전까지의 서얼허통 관련 자료들을 찾고, 이를 <유재론>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국왕 세조, 관료 김일손 · 조광조 · 이황 그 리고 서얼 김사악 등의 자료를 찾을 수 있으며, 그들의 주장과 그 주장의 전개방식 등이 <유재론>과 유사한 데가 많았다. 가령, 인재를 하늘이 귀천이나 적서를 가리 지 않는다는 것, 서얼금고로 인한 원통함에 나라의 화기를 이루기 어렵다는 것, 서 얼 인재를 등용하지 않으면 하늘의 뜻을 어긴다는 것 등의 내용이 그러하다. 특히 서얼 김사악의 상소에 보이는 주장의 강렬함은 <유재론>에도 확인되며, 퇴계의 발언 내용의 많은 면이 <유재론>과 닮아있어서, 허균이 이들의 주장을 상당히 많 이 참고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제4장에서는 작품 주인공의 목소리 · 마음이 작가 허균의 그것을 반영한다고 상 정하여, 그것들을 주인공의 활동영역별로 정리하였다. 그 결과 주인공이 가장 한탄 하는 것은 가정에서는 ‘호부호형의 금지와 가중천대’이고, 사회적으로는 ‘과거급제 후 병조판서나 옥당에 오르지 못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서얼로서 주인공이 보여준 이러한 한(욕망)은 허균의 <유재론>에는 찾아보기 힘들며, 양자의 내용상 간극이 심하였다. 이러한 주인공의 ‘병판 제수와 문괴무선의 임용’ 요구는 서얼통청이 이 루어진 정조1년(1777) <정유절목> 조치 이후에야 가능한 것으로, 허균 생존 당시 사회적 상황으로 생각하기 힘든 일이라고 했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볼 때, <유재론>의 주장은 허균만의 독특하고 파격적이며, 시대를 앞섰던 진보적인 주장이 결코 아니며, 또한 <홍길동전> 속의 ‘호부호형, 병 판 제수’ 문제를 <유재론>의 주제에 곧장 연결시켜서도 안 될 것이다. 아울러 이 글의 내용을 면밀하게 살필 때는 그 주제를 확대해석해서 ‘서얼 철폐’ 내지 ‘인간평 등’ 등의 사상까지 지적해서는 안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