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research was performed for the philological proving the necessity of corrected text concerning collating issue, which had been raised like the one to be needed in prior settling, in the middle of translation, annotation and research course of Daijō hossō kenshinshō, which the author works for, and the suggesting the direction for text officializing. First, through the state of the existing texts of “Kenshinshō,” its genealogy was estimated, then by the work catching the collated conditions of the versions of “Zensho” and other else, the problems seen on the previous ones were derived. Based on a clear recognition of these problems, the necessity of the new corrected version of the text was confirmed. Therefore, the important things to officialize the text are the existence of the good version of the text, its clear record, correct information of the object to collate, understanding the context, and detailed memos about collating issues etc. that should be performed. Furthermore, in about the problems of existing text, audacious correction is also necessary to the distance in keeping not beyond the writer’s own view.
한국어
본 硏究는 筆者가 博士論文으로 진행하고 있는 ‘『大乘法相硏神章』 譯註 및 硏究’ 과정 중에서 先決問題로 제기된 텍스트 校勘問題와 관련하여 校訂 텍스트의 必要性을 文獻學的으로 證明하고 텍스트의 定本化의 方 向性을 제안하고자 하는 目的으로 硏究되었다. 『硏神章』의 現存 텍스트 현황을 통해 텍스트의 系統을 추정해 보았고, 佛全本과 각 텍스트와의 校勘實態把握을 통해 校勘 텍스트 상에 나타나는 問題點들을 導出하였다. 이러한 問題所在에 대한 명확한 認識을 바탕으로 『硏神章』의 새로운 校訂本의 必要性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텍스트 定本化를 위해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善本의 텍스트와 텍스트에 대한 명확한 記錄, 校勘對象에 대한 올바른 情報와 文脈의 理解, 校勘事項에 대한 구체적인 記錄 등이며 또한 기존 텍스트의 問題에 대해서는 과감한 校訂을 가하되, 著者의 視點을 늘 念頭에 두어야 한다.
목차
1. 緖論
2. 佛全本의 텍스트 現況 및 問題
2.1 現存 텍스트 現況
2.2 佛全本의 텍스트 活用上의 問題
3. 佛全本의 校勘實態와 定本化의 必要性
3.1 佛全本 校勘方式
3.2 校勘實態 把握을 통한 諸問題 導出
3.3 定本化의 方向性 提案
4. 結論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