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만화 「우리 대한민국」에 대한 고찰

원문정보

An Analysis of the Comic Books Titled Korea-My Home

한미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review bibliography and contents regarding Korea - My Home which is possessed by KOMACON. As the background of this study, the terms and periodic classification of domestic comic books were reviewed as well as the types, cartoonists, and psycological wars of comic books in 1950s. The results of review on Korea - My Home are as follows. 1) Overall contents are noticeably aiming at comparing the system of South Korea with that of North Korea with a view to serving the United Nations and the Unites States' propaganda on their system advantage. 2) The time scope of the contents covers from 1945 when Korean was liberated from Japan to 1951 when Seoul was recaptured by Chinese Army. 3) The title of this book is written in English (as Korea - My Home) in addition to Korean. It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anti-Communist propaganda bill, raising the possibility that this comic book was published by either United Nations Headquarters or the US 8th Infantry Division or Republic of Korea Army Headquarters or Information and Education Bureau of National Defence Ministry. It is to be noted that there is higher possibility that these were published by UN Headquarters of US Command or the US 8th Infantry Division, taking into consideration that the role of the US and the UN is mentioned often in the contents. 4) The publication year is judged to be 1952, taking into account the stamped indications reading ‘January 1952’ on the page of the title and the investigations of time range coverage of the overall contents. 5) While the author of this book is anonymous, there is chance that it was produced by UN Headquarters, the US 8th Infantry Division Headquarters, UN Headquarters Korea, or Information and Education Bureau of National Defence Ministry. In the case of cartoonist, the author might have been either Kim Sung Hwan, who participated in the editing of enlightenment poster and propaganda bills or Kim Yong-hwan who participated in the publication of propaganda bills as the hostages of the United Nations Army during those days. However, there is no excluding the possibility that the other person is the author because cartoonists were mobilized to participate in the editing of propaganda as part of psycological war at that time. 6) In 1950s, such printed materials as propaganda flyers and comic book magazines were used as the media as part of psycological war strategy during Korea War. Especially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out that single separate books such as Korea - My Home were also made available. And based on the record of ‘UNIT NO.23’, it can be guessed that there might have been other type of materials or monographs published for propaganda purposes.

한국어

이 연구는 한국만화영상진흥원(KOMACON) 소장의 유일본 만화 「우리 대한민국」에 대한 서지 및 내용을 고찰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연구의 배경으로 용어와 국내 만화의 시대적 구분을 살피고, 1950년대 만화의 종류와 만화가 및 6.25 전쟁의 심리전을 고찰하였다, 「우리 대한민국」에 대한 고찰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체적인 내용은 북한과 남한의 체제와 생활 비교 및 미국과 유엔의 체제 홍보적 성격이 강하다. 2) 내용의 시간적 범위는 해방 후 1945년부터 서울이 중공군에게 함락 이후 1951년 즈음까지 다루고 있다. 3) 표제의 경우 국문 외에 영문(Korea - My Home)이 함께 표기되어 있으며, 반공적 홍보용전단 성격으로 유엔본부 또는 미 8군 사령부나 한국 육군본부 또는 국방부 정훈국의 발행 가능성이 있다. 다만, 내용 중 미국과 유엔의 역할이 자주 등장하는 것으로 보아 유엔본부 또는 미 8군 사령부의 발행 가능성이 보다 높다. 4) 발행년의 경우 표제지면의 ‘January 1952’ 스탬프 도장과 전체 내용의 시간적 수록 범위 조사를 바탕으로 1952년으로 볼 수 있다. 5) 책임표시사항은 미상이나 유엔본부 또는 미 8군 사령부나 한국 유엔본부 또는 정훈국에서 제작한 것으로 보인다. 만화가의 경우 국방부 정훈국 미술대에서 계몽포스터와 삐라 작업에 참여한 김성환과 당시 유엔군의 포로로 홍보선전 작업에 참여한 김용환일 가능성이 있다. 다만 당시 심리전에 만화가들이 동원되어 홍보자료 제작에 참여하였으므로 제3의 만화가일 가능성을 배제 할 수는 없다. 6) 1950년대에는 홍보용전단과 만화잡지 등이 6.25 전쟁 심리전의 홍보용 매체로 활용되었다. 특히 이 연구를 통해 「우리 대한민국」과 같이 단행본 홍보자료도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표제지면의 ‘UNIT No. 23’ 기록을 통해 또 다른 홍보용 자료 또는 단행본이 있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목차

<초록>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2 연구의 방법과 제한점
2. 연구의 배경
2.1 용어
2.2 만화의 시대적 구분
3. 1950년대의 만화
3.1 1950년대 만화의 종류
3.2 1950년대의 만화가
3.3 6.25 전쟁의 심리전
4. 우리 대한민국의 분석
4.1 서지적 분석
4.2 내용 분석
5. 결론
<참고문헌>
[부록] 「우리 대한민국」의 구성과 내용

저자정보

  • 한미경 Han, Mikyung. 경기대학교 인문대학 문헌정보학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