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武藝諸譜』의 간행과 서지학적 가치

원문정보

Publication and Bibliographic Values of Muye Jebo (The Martial Arts Report)

『무예제보』의 간행과 서지학적 가치

옥영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Muye Jebo (The Martial Arts Report) was a book that Hankyo (韓嶠 1556-1627) selected, explained, translated, and published six single martial arts such as Gon Bong, Deung Pae, Nang Seon, Jang Chang, Dang Pa, Jang Do in the Kyo Hyo Shin Seo in 1598. This study examined the publication process of the newly discovered Muye Jebo kept in Suwon Hwaseong Museum based on the existing study data, and conducted an empirical study on the existing data. Muye Jebo is the first martial art book published in Chosun and translated in Korean. Not only in military studies, but also in bibliographical aspects, it is valuable as a material in printing culture at the beginning of the late Joseon Dynasty centered on the Hunryeon Dogam immediately after the Imjin War, and also significant as the first book that Kyo Hyo Shin Seo of Cheok Gye Gwang was introduced and converted into Chosun style. It has elements common to the later martial art books, publication methods, and compiled characters which were published afterwards and can also play an important role especially in figuring out the lineage of the martial art books leading to Muye Jebo Beon Yeok Sok Jip in the period of King Gwang-hae, Muye Shinbo which was compiled by Sadoseja in the period of King Yeong-jo, and Muye Do Botongji compiled in the name of King Jeong-jo. As a result of a careful examination of the bibliographic features, it was confirmed that the collection in the Suwon Hwaseong Museum was the same as the one in the of the only known collection of the already-known French Oriental University Library of Languages and Civilizations (BULAC).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interim edition in the National Hangul Museum was published 120 years after the first edition in the Suwon Hwaseong Museum. This study focused on making the timing of actual withdrawal of the contents of each publication more clearer by looking to the bibli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he newly discovered books in detail. Comparisons of the collections of BULAC with those in the Hangeul Museum will help confirm the specific facts in that sense.

한국어

『무예제보』는 1598년에 한교(韓嶠 1556-1627)가 『기효신서』에서 곤봉(棍捧), 등패(藤牌), 낭선(狼筅), 장창 (長槍), 당파(鎲鈀), 장도(長刀) 등 단병 무예 6기를 선정하여 해설하고 한글로 번역하여 간행한 책이다. 이 연구는 새롭게 발견된 수원화성박물관 소장 『무예제보』의 간행과정을 기존의 연구와 기록자료를 토대로 점검 하고, 현전하는 자료에 대한 실증적 고찰을 진행한 것이다. 『무예제보』는 조선에서 처음으로 간행된 무예서이자 한글로 번역된 병법서로서 기록유산적 의미가 매우 크다. 군사학(軍史學)뿐만 아니라 서지학적인 측면에서도 임진전쟁 직후에 훈련도감을 중심으로 한 조선후기 인쇄문화의 시발점에 있는 자료로서 가치를 지니며, 척계광 의 『기효신서』가 유입되어 조선식으로 변화되는 첫 번째 책이라는 의미도 있다. 이후에 간행된 역대 병법서와 간행방식, 편찬인물 등에 공통적인 요소를 지니고 있으며, 특히 광해군대 『무예제보번역속집』, 영조대 사도세자 에 의해서 편찬된 『무예신보』, 정조의 명으로 편찬한 『무예도보통지』로 이어지는 무예서의 계보를 파악하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서지적 특징을 면밀히 검토한 결과 수원화성박물관 소장본은 기존에 유일하게 알려졌던 프랑스 동양언어문명도서관(BULAC) 소장본과 동일본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국립한글박물 관에 소장된 중간본이 초간본인 수원화성박물관 소장본 이후 120여 년이 지난 시기에 간행되었음을 확인하였 다. 이 연구에서는 새롭게 발견된 책들의 서지적 특징을 세밀히 살펴보면서 각 문헌에 담긴 내용의 실제 인출 시기를 좀 더 명확하게 드러내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BULAC 및 한글박물관 소장본과의 비교는 그런 의미에서 구체적 사실을 확인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목차

<초록>

1. 머리말
2. 『무예제보』의 편찬과 구성체제
2.1 편찬 간행과정
2.2 『무예제보』의 편찬체제
3. 『무예제보』 간행 전후의 무예서적 간행상황
3.1 『기효신서(紀效新書)』와 『기효신서절요(紀效新書節要)』
3.2 『무예제보번역속집』
4. 『무예제보』 현전본의 형태서지적 비교
4.1 수원화성박물관과 프랑스 동양언어문명도서관 소장본
4.2 초간본과 중간본
5.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정보

  • 옥영정 Ok, Young Jung. 한국학중앙연구원 고문헌관리학전공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