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논문

흑두루미춤 창작 동기, 과정 및 공연에 관한 자전적 사례 탐구

원문정보

Autobiographical Case Study on Motivation, Progress and Performance of Creating Hooded Crane Dancing

전영국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deals with my autobiographical case study regarding motivation, process and aesthetic experiences that I, a professor in the field of computer education, had involved with creating hooded crane dancing. I collected data related creative performance activities such as photographs, videos, memos, dialogues, and pamphlet materials during 2017-2018 and projected live inquiries into a timeline as part of data interpretation. By adopting Artography, I illustrated major aspects of my performative experiences with live narratives as a single case study. The major emerging them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ase revealed pervasive and progressive passion and energy toward putting interests on knowing and understanding hooded cranes from ecological perspectives by mimicking their social behaviors and gradually tried out small performance events. Second, despite learning folk and court crane dancing, I could keep trying out to create my own versions of hooded crane dancing through connecting myself with nature from the perspectives of migratory birds. Third, this study showed the characteristics that described the process by which choreography work was developed and internalized through trying to understand the ecology of hooded cranes and sympathy with nature. Finally, arts-based inquiry may open up various genres of creative art forms for hooded crane dancing as part of research outcomes; for example, the follow-up researcher can present an autobiographic dancing for hooded cranes after collecting and interpreting her inquiries on hooded crane’s ecological stories.

한국어

이 연구는 컴퓨터교육 분야의 교수가 순천만 흑두루미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자신의 관점으로 탐구 한 내용을 재해석하여 몸짓과 춤으로 창작하게 된 동기, 과정 및 공연 경험에 관한 자전적 사례를 다루 고 있다. 연구자는 2017년부터 2018년 사이에 주로 활동한 사진, 동영상, 메모, 대화 및 공연 팸플릿 자료 등을 수집하여 인물사례의 일환으로 시간흐름표를 작성하여 해석하였다. 또한 예술기반연구의 방 법 중 하나인 Artography를 사용하여 흑두루미 창작춤 활동을 탐구하여 묘사하였다. 흑두루미 창작춤 공연을 하게 된 자전적 경험에서 드러나는 고유한 특징과 의미를 고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주요 측면을 포착하였다. 첫째, 나의 자전적 사례에서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부분은 순천만 흑두루미에 대한 관심과 열정을 서서히 가지면서 흑두루미에 대하여 창의적인 몸짓과 놀이로 표현해 보고자 시도한 점이다. 그 과정에 서 나는 철새들의 움직임을 관찰하면서 탐구하면서 춤을 추게 되었고 시베리아와 순천만을 오가는 멸 종위기종 천연기념물에 대한 새로운 눈뜸이 시작되었다. 생태탐구의 대상으로 흑두루미의 움직임을 나 의 ‘몸짓’으로 내면화 하면서 주요 특징을 이미지화 하여 동작을 구성하였다. 둘째, 흑두루미춤을 구성하고 공연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창작춤에 대한 비전을 갖게 되었다. Artography를 도입하여 예술가-교육자-연구자의 역할이 교차하는 관점에서 흑두루미춤을 추는 지나 간 경험을 탐구하면서 융합적인 공연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을 보게 되었다. 이러한 성찰은 흑두루미 생태에 관한 재해석을 통해 새로운 몸짓과 안무 구성을 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해 주었다. 셋째, 이 연구는 흑두루미의 생태와 삶에 대한 탐구와 자연과의 교감을 통하여 몸짓이 구성되어지고 내면화 되어가는 과정을 묘사한 특징을 보여준다. 나는 흑두루미의 스토리 전개와 안무 구성을 할 때 마치 ‘두루미의 눈’으로 자연과 세상 및 인간세계를 바라보는 듯한 관점을 취함으로써 새로운 몸짓에 대한 아이디어를 얻어나가게 되었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1. 연구의 배경
2. 연구 방법
Ⅱ. 흑두루미 춤을 추는 자전적 이야기
1. 연구참여자 소개: 필리핀에서 춤에 대하여 관심을 가지다
2. 내면에서 우러나는 몸짓을 하다
3. 전통 학춤을 조금씩 배우며 창작 활동을 이어가다
Ⅲ. 흑두루미춤 창작 및 공연의 과정
1. 영상을 사용한 두루미춤: 청청예술제 참가
2. 순천만 흑두루미춤 시연: 생태적 접근
3. 흑두루미 창작춤 공연 구성
4. 창작춤 공연에 대한 반성적 고찰과 비평
Ⅳ. 나가며: 해석적 논의 및 제언
1. 자전적 사례에서 부각되는 특징
2. 흑두루미춤에 대한 비전
3. 질적 연구방법에 대한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전영국 Jun, Youngcook. 순천대학교 컴퓨터교육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