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논문

정재 오양선에 있어서 중국의 지방문화적 요소

원문정보

Chinese Local Cultural Elements in Jeongjae Oyangseon

임장혁, 염희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Oyangseon (五羊仙, Daoist hermits of five sheep) is known as one of the fourteen dances of Dangakjeongjae (唐樂呈才, Chinese court dance). It has been performed since the Goryeo Dynasty (918-1392) as a royal dance transmitted from the Song Dynasty (960-1279) of China with a background of the Oyang (五羊, Five sheep) legend. The existing research on Oyangseon focuses on the transformation of Oyangseon, production composition, and narrative analysis based on historical materials, though with little examination of symbolic or metaphorical expressions in choreography. Oyangseon is a dance performance based on a folk tale set in Chinese Weo (越) culture. According to W. Eberhart, Weol culture was developed in combination with the Thai culture and the Yao culture. The present study aims to provide an interpretation of Oyangseon based on the motifs and cultural elements of Oyangseon’s tale from a Weol cultural perspective. Oyangseon's tale tells the story of five sheep delivering grain from the holy world to the human world for a good harvest and well-being. Oyangseon can be understood as a work strengthening or renewing royal authority by invoking the relation between spirituality and farming. Jukgan (竹竿, a bamboo pole) is a ritual-offering-object widely used in Chinese palaces and even in the private sector which represents the presence of deity. Meanwhile, the choreography of Jeonjae is same as the Chinese Ubo (禹步). Marcel Granet said Ubo is an expression of the one-legged goblin's walking (movement) in Chinese myth. The goblin can be recognized as the mountain god or mountain god's messenger whose appearance is interpreted as a metaphor of blessing to human world.

한국어

오양선에 대한 연구는 사료를 바탕으로 한 오양선의 변천 양상과, 연출구성, 서사 분석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기에 안무에 있어 상징 또는 은유적 표현에 관한 논의는 거의 논의되지 않았다. 오양선은 중국 월(越)문화를 배경으로 한 설화이고 이를 무용으로 표현한 작품이다. 에버하르트(W. Eberhart)에 의하면 월문화는 중국고대 도작농경을 하던 타이문화와 산간 화전농경을 하던 야오문화와 복합하여 발전한 지방문화라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월문화적 시각에서 오양설화의 모티프와 문화요소를 중심으로 오양선의 의미를 해석해보고자 하였다. 오양선 설화는 다섯 마리의 양이 성스러운 세계로부터 곡물을 인간세계에 전하여 풍년과 안녕을 이룰 수 있었다는 이야기이다. 이러한 설화는 주몽이 곡모신인 유화로부터 받은 곡물의 종자로 고구려 를 건국하였다는 신화와도 유사하며, 곡물의 종자를 신앙의 대상으로 하는 곡령신앙(corn spirit)을 배 경으로 한다. 따라서 오양선은 곡령신앙을 배경으로 왕권의 강화 또는 갱신을 위해 극적으로 표현한 작품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분석개념으로서 왕모는 오곡을 상징하고 있다. 오양설화의 양(羊)은 월문 화권에 없는 가축이기에 염소(羊)로 추정된다. 죽간은 중국 궁중이나 민간에서도 널리 의례적으로 사용되는 의물(儀物)이며 우리의 화간(禾竿)이나 농신대의 형태와 기능이 유사하며 신의 강임을 나타낸다. 죽간이 선두에 입장하며 공연이 시작되는데, 농신이 강임하여 축복을 전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한편 정재의 족도는 중국의 우보(禹步)와 동일 하다. 그라네(Marcel Granet)는 우보가 중국설화에서 다리가 하나인 도깨비의 보법을 표현 것이라 하 였다. 도깨비는 산신 또는 산신의 사자라 할 수 있는데, 오양선만이 아니라 정재에서 족도는 연행자들 이 다른 세계에서 인간계에 출현하여 축원하는 은유라 해석된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선행연구 검토와 연구방법
Ⅱ. 오양설화의 모티프에 나타난 오곡과 왕모
1. 중국 월문화에 있어서 오양설화의 모티브
2. 왕권신화와 곡령신앙
3. 오곡의 상징으로서 왕모
4. 오양의 은유로서 왕모
Ⅲ. 이계(異界)의 매개체인 죽간자와 족도
1. 의물로서 죽간자의 상징
2. 당악정재의 보법과 중국의 우보(禹步)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임장혁 Im, Jang Hyuk. 중앙대학교 아시아문화학부 교수
  • 염희재 Yeom, Hee Jae. 중앙대학교 문화재학과 민속학전공 석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