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Spatial Panel Econometric Analyses of the Effects of Jobs-Housing Balance on Commuting Time
초록
영어
Suburbanization or urban sprawl has caused social problems such as trafficcongestion and increase in travel costs because of the segregation of jobs and houses. Insolving those problems,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ting pattern and jobs-housingbalance is one of the important issues in urbanization. This study analyzed therelationship between commuting time and jobs-housing balance and socio-economicfactors affecting commuting time in Seoul Metropolitan Areas (2000-2015) using spatialpanel econometrics. Several significant results were derived. First, the relationshipbetween commuting time and jobs-housing balance has a “U” shape curve. That is,commuting time is longer in job-rich and housing-rich areas and is shortened inbalanced areas. Second, socio-economic factors such as the number of high schools,housing prices, junse prices, and the financial independence rate affected commutingtime. Third, the greenbelts directly or indirectly affects commuting time. Therefore, localgovernments should understand jobs-housing balance policy considering spatial andsocio-economic aspects.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those factors, which this studyanalyzed with advanced econometrics, also need to be further considered in managingurban growth whose spatiotemporal manifestation is deeply related with the above threefindings.
한국어
‧ 주거지의 교외화는 주거지와 직장의 공간적 분리를 심화시켜 교통체증 및 교통비용 증가 등의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중에서도 통근패턴과 직주균형의 관계에 대한 논의는 중요한 이슈중에 하나이다. ‧ 따라서 본연구는 연구지역에 대한 동태적인 분석이 가능한 공간패널계량경제학 기법을 적용하여 수도권의 통근시간과 직주균형과의 관계 및 통근시간에 미치는 사회경제적 요인을 분석하였다. ‧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첫째, 직주비와 통근시간의 관계는 U자 형태의 함수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직장이 많은 곳이나 주거지가 많은 곳에서는 통근시간이 증가하고 있으며 직주비가 균형인 지점에서 통근시간이 짧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둘째, 통근시간을 결정하는 요인은 다양하게 나타났다. 고등학교 수, 주택가격, 전세가격, 재정자립도 등의 사회경제적 요인이 통근시간의 증감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 셋째, 그린벨트는 직·간접적으로 통근시간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린벨트 면적은 통근시간의 증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그린벨트의 안쪽 지역은 간접적으로 인접지역의 통근시간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어 그린벨트가 통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 따라서 지자체는 직주균형정책에 관심을 기울이면서 크게 공간적 차원과 사회경제적 차원(소득, 환경, 교통인프라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도시관리(urban management) 및 도시체계(urban system) 차원에서 토지이용과 도시성장문제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목차
1. 서론
2. 이론 및 선행연구검토
2.1. 관련이론 검토
2.2. 선행연구 검토
3. 분석틀 설정
3.1. 분석자료 및 기초통계
3.2. 직주비와 유동포집지역(Floating Catchment Area: FCA)
3.3. 분석방법
4. 분석결과
4.1. 통근시간 변화와 직주비 변화
5.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