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기술 혁신에 의한 지역 일자리 변화에 대한 연구

원문정보

The Impact of Technological Innovation on Regional Occupational Changes at the Regional Level

임보영, 마강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Previous studies have demonstrated that the impacts of technologicalinnovation on employment may vary according to the occupational composition at anational scale. Since the compositions of occupation may be different according todifferent regions, it can be expected that there may discriminative impacts on thenumber of jobs at the regional or local leve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regional changes of employment which can be influenced by technological innovations. The results of study indicate that technological innovation can contribute to the growthof jobs in general, but certain areas may experience a reduction of workforce. It isexpected that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can increase the regional employmentdisparity, as it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employment in Seoul Metropolitan Area(SMA)and Chungcheong Province, but the other areas may not take advantage of suchtechnical advan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s that strong employment policies fornon-SMA regions should be implemented in order to respond the unemployment in theera of 4th industrial revolution.

한국어

기술 혁신과 일자리에 대한 선행연구는 ‘기술 혁신에 의해 일자리 감소할 것’이라는 의견과 ‘기술 혁신으로 인해 새로운 일자리가 창출’될 것이라는 의견으로 양분되어 나타나고 있다. 기술 혁신이 일자리에 미칠 영향에 대한 시각이 나뉘고 있으나, 기존 연구들에서는 기술 혁신의 직종별 영향에만 집중해 왔다. 기술 혁신의 영향력이 직종별로 차이가 나듯이 직종 구조가 다른 지역 역시 기술 혁신에 의한 영향력을 차별적으로 받을 수 있다. 지역적 차원에서 기술 혁신에 의한 영향력을 사전에 파악하고 이에 대한 대응책을 마련하지 않는다면, 지역 간 경제력 격차는 더욱 커질 수밖에 없다. 본 연구는 기술 혁신에 따른 지역별 일자리 변화를 추정하고, 이러한 변화가 지역 간·지역 내 일자리 격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현재의 지역별 직종 구조가 유지된다는 가정 아래, 최근의 직종별 연평균 증감률을 지역별·직종별 일자리 수에 적용해준 결과 권역 간 일자리 격차는 0.491로 나타났다. 이러한 권역 간 일자리 격차는 기술 혁신 패러다임 아래 더욱더 심화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기술 혁신은 수도권 및 충청권의 일자리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나머지 권역에서의 일자리에는 부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기술 혁신이 지역별 일자리 변화에 차별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본 연구의 가설을 뒷받침해 준다. 기술 혁신에 따른 국토 내 일자리 편중 문제와 비수도권 시군의 일자리 감소가 우려되는 가운데, 향후 정부와 지자체의 산업 육성 정책과 일자리 정책의 중요성은 더욱더 커질 것이다. 그간 지역 산업 및 일자리 정책은 기존의 정책을 답습하고 있거나 지역 특성을 반영하지 못한 채 진행되어왔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응하기 위해서 권역별로, 도시 규모별로 산업, 일자리 전략을 새롭게 강구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권역별 신산업 산업 육성 분업 시스템을 구축하는가 하면, 지방의 고숙련 노동자 육성을 위한 지역의 산학연계 시스템 구축 및 강화 정책을 마련할 수 있다. 또한, 권역 내 대도시에서는 도시형 신산업 혁신 생태계를 조성하고, 중소도시지역은 혁신도시의 성장 거점화·산업단지 고도화를 중점적으로 진행하며, 쇠퇴 지역에서는 지역 재생사업과 산업 및 일자리 정책을 연계할 수 있을 것이다(정우성, 2017).

목차

Abstract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2. 기술 혁신에 의한 일자리 변화에 대한 선행연구 고찰
3. 실증분석
3.1. 자료 및 실증분석 방법론
3.2. 지역별 일자리 변화와 지역 간・지역 내 일자리 격차에 대한 실증분석
4.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참고문헌

저자정보

  • 임보영 Im, Bo-Yeong ・. 중앙대학교 도시・부동산연구소 연구원
  • 마강래 Ma, Kang-Rae. 중앙대학교 도시계획・부동산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