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rdy is to highlight the introduction of NeoConfucianism during the Goryeo(高麗) Dynasty and to examine the status of Gangneung(江陵) Hyanggyo(鄕校), which was founded by Kim Seung-in, to examine the construction process of Hyanggyo, a local public education institution. If education in the central area was centered on GukJaGam(國子監), the importance of local education was raised in that local education was centered on Hyanggyo. Although it seems to be the beginning of Hyanggyo that dispatched GyeongHak BakSa(經學博士), UiHak BakSa(醫學博士) to 12 Mok(牧) in the 6th year of King Seongjong(成宗)'s reign of Goryeo to teach local children, none of the existing Hyanggyoes remained built during the reign of King Seongjong. Later, in the fifth year of king InJong(仁宗)'s reign(1127), lHyanggyoes were established in several GunHyeon(郡縣) in the province to expand the educational horizon. Eleven Hyanggyoes, including Ganghwa(江華), Gyodong(喬桐), Bupyeong(富平), Gimpo(金浦), Tongjin(通津), Jangdan(長湍), Yeongbyeon(寧邊), Wonju(原州), Danseong(丹城), Ganggye(江界), and Isan(理 山), were established during the reign of King InJong. The first seven were found to have been built in the fifth year of King InJong's reign(1127), but the fourth one in the back is unknown. This shows that Hyanggyo was established in large cities in the province during the reign of King InJong of Goryeo Dynasty. Gangneung(岡陵) Hyanggyo built by Kim Seung-in(金承印) in the fifth year 188 東洋古典硏究 第79輯 of King Chungseon(忠宣王)'s reign(1313), is an indicator of new changes. The literature records Gangneung Hyanggyo is the first Hyanggyo in Korea. This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that Gangneung Hyanggyo is the first Hyanggyo to have both Munmyo(文廟) and Ganghak(講學) facilities. From this point of view, Gangneung Hyanggyo has provided an opportunity for the establishment of many Hyanggyoes across the country and established standards for the establishment of local Hyanggyo.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record that there was Hyanggyo in Gangneung more than 200 years ago, it is highly likely that Gangneung Hyanggyo was first established when it was built nationwide in the fifth year of King InJong's reign(1127). Therefore, Kim Seung-in can be regarded as a person who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the reconstruction of Gangneung Hyanggyo, influenced by his father Kim Gu(金坵) and older brother Yeo Woo(汝盂).
한국어
본고는 지방의 공교육 기관인 향교(鄕校)의 건립 과정을 살펴보기 위해고려시대 성리학의 도입 과정을 조명해 보고, 김승인(金承印)이 설립한 강릉향교의 위상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고려 성종 6년(987)에 경학박사와 의학박사를 12목에 파견해 지방 자제들을 가르친 것이 향교의 시초로 보이지만, 현존하는 향교 중에서 성종시기에 창건된 향교는 남아있지 않다. 이후 인종 5년(1127)에 이르러 지방의 여러 군현(郡縣)에 향학(鄕學)을 세워 교육의 지평이 넓혀지는 계기를맞는다. 현존하는 강화⋅교동⋅부평⋅김포⋅통진⋅장단⋅영변⋅원주⋅단성⋅강계⋅이산 등 11개의 향교가 인종 재위 기간에 창건된 것들인데, 앞의 7개는 인종 5년(1127)에 창건된 것으로 확인되나 뒤의 4개는 명확한 창건 연도를 알 수 없다. 이를 통해 고려 인종 때는 지방의 큰 도시에 향교가 본격적으로 설립되던 시기인 것을 알 수 있다. 고려 시기, 이러한 향교의 건립 과정에서 김승인이 충선왕 5년(1313)에건립한 강릉향교는 새로운 변화를 보여주는 지표이다. 전래문헌에는 강릉향교를 우리나라 최초의 향교라고 기록되어 있는데, 이는 강릉향교가 문묘(文廟)와 강학(講學) 시설을 겸비한 최초의 향교라는 의미로 해석되어야할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강릉향교는 이후 전국에서 많은 향교들이 설립되는 계기와 그 향교들의 설립 기준을 마련하였다는 의의가 있겠다. 한편, 이보다 200여 년 전에 이미 강릉에 향교가 있었다는 기록이 존재하는 것으로 보아, 인종 5년(1127)에 전국적으로 향교가 건립될 때에 강릉향교도 처음 창건되었을 개연성이 높다. 이런 관점이라면 김승인은 부친인 김구(金坵)와 형인 여우(汝盂)에게 영향을 받아 강릉향교를 중건하는데 혁혁한 공을 세운 인물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성리학의 도입과 향교건립의 추세
Ⅲ. 김승인의 강릉향교 설립과 의의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