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이긍익 소작 <죽창곡(竹牕曲)>의 특징과 연군의 문맥 고찰

원문정보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and the context of Yeongun Appearing in Lee Geung-ik's <Jukchanggok (竹牕曲)>

남정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ttempted to reconstruct the situation of creation for that Lee Geung-ik wrote, and examine the inner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work and the context of Yeongun consciousness. Inferring the context in which the writer produced this work, there is a different point from the usual exile Gasa, and that is, he experienced exile as an accompanying person, not as an exile person. His father Lee Gwang-sa was implicated when his elder uncle Lee Jin-yu, who was already deceased, was again involved in the issue of punishing treason, and had to be exiled from 1755 to 1777 when he (Lee Gwang-sa) died. is based on the Shinjidoisland exile around 1763, when Lee Geung-ik accompanied his father's exile. In the work, the speaker speaks with the voice of a woman and describes the relationship with Nim as fate. In the prologue, he pointed out that the relationship with Nim had not been made, and went into the main discourse, and the earnest desire for Nim's indebtedness continued. And the main semantic framework that creates the structure of this yearning for royal favor (干恩) in the course of the narrative is the trial of the speaker and Nim's indebtedness to overcome it. Through the development of this poetic sentiment, the sigh of the speaker, which was caused by failing to meet Nim, ultimately turns into satisfaction by Nim's act of giving king's virtue. The reality faced by Lee Geung-ik as an exile accompanying person was relentless and impossible to make a rise socially in the world. Under the existential conditions of such a clumsy clan, the author did not defend the position of his own father, or through it, did not reveal the voice of criticism toward the world. Rather, he emphasized that the simple life of his father's exile life was due to the indebtedness of the wise king, and he hoped for a world in which the virtues of the king would be given to him and his father without discrimination.

한국어

이 글에서는 이긍익이 창작한 <죽창곡>을 대상으로 하여 창작의 상 황을 재구성하고 작품 내부의 구조적인 특징과 연군의식의 문맥을 고찰 해 보았다. 작자가 이 작품을 생산한 맥락을 추론해 보면 일반적인 유배 가사와는 다른 지점이 있는데, 그것은 그가 배행자로서 유배를 경험했 다는 것이다. 친부인 이광사는 이미 고인이 된 백부 이진유가 다시 역률 에 추시되자 연좌되어서 1755년부터 임종 시인 1777년까지 유배형을 치 러야 했다. <죽창곡>은 이긍익이 아버지의 유배를 배행했던 1763년 무 렵의 신지도 유배를 그 배경으로 하고 있다. 작품 속에서 화자는 여성의 목소리로 발화하며 님과의 인연을 운명으 로 서술하고 있다. 서사에서는 님과의 인연이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지 적하고 본사에서는 님의 은혜에 대한 간구가 연속되었다. 서술의 과정 에서 이 간은(干恩)의 구조를 만들어내는 주요한 의미적인 틀은 화자의 시련과 그것을 극복하게 하는 님의 은혜이다. 화자의 탄식은 결론적으 로는 성덕을 베푼 님의 행위에 의해서 충족감으로 바뀐다. 배행자로서 이긍익이 마주 한 현실은 냉혹하고 스스로 입신양명의 사회적 출세가 불가능하였다. 이러한 불온한 가문이라는 실존적인 조건 속에서 작자는 연좌된 친부의 처지를 옹호하거나 그것을 통해서 세상을 향한 비판의 목소리를 드러내지 않았다. 그보다는 오히려 아비가 영위하는 유배생활 의 소박한 삶이 성군(聖君)의 은혜 덕분임을 강조하면서 왕의 덕이 자신 과 친부에게 차별없이 베풀어지는 세상을 소망했다.

목차

<논문 요약>
Ⅰ. 문제 제기
Ⅱ. 1763년 즈음 신지도 유배의 상황
Ⅲ. 작품의 구조적 특성
Ⅳ. 배행자의 시선과 연군의 의미
Ⅴ. 맺음말
<참고 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남정희 Nam, jeong-hee. 홍익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초빙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