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소암 임숙영 변려문의 서유체적 특징 연구(1) − 예비적 검토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the works of Lim Suk Young’s Pianliwen in the 17th Century(Ⅰ) - focusing on preliminary review

김광섭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ntended to analyze the literary characteristics of 17th century's Pianliwen on the basis of Nam Yong-ik’ 「Comment of Liwen(儷評)」. In the 17th century, Pianliwen was created and enjoyed by some writers with the Song·Yuan’ Pianliwen. We can check the the Song·Yuan’ Pianliwen by compiling the collection of Pianliwen. And Seoyuche Pianliwen can analyze its features based on the works mentioned in Liwen(儷評). So, I looked at the collection of Pianliwen and fou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Joseon Dynasty’s Pianliwen by comparing Lee Jeong-Gui with the writings of Su-shi(蘇軾). And I compared the writings of Yushin(庾信) and Im Sook-young about Seoyuche Pianliwen. Im Sook-young selected by Nam Yoo-yong has eight articles, including the 「Tonggoonjung-seo(統軍亭序)」, 「Yeonkwangjun-gseo(練光亭 序)」. I took three of these and examined the Seoyuche Pianliwen features. In contrast to the sentences of Song·Yuan’ Pianliwen, Lim Suk Young’s Pianliwen shows that the Seoyuche Pianliwen was created and enjoyed. Thus, just as the Dang·Song and Chin·Han dynasty classical literature transformed in ancient text to enrich the literary world, it was intended to confirm the changes that occurred in the Pianliwen at that time. Based on this, the second paper will reveal why Cha Cheon-ro and Lim Sook-young wrote the Seoyuche Pianliwen. And I will study whether there is a writer who connects them and the metaphors of the two characters. Through these studies, we will be able to see what the formality of the Seoyuche Pianliwen means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한국어

이 글은 17세기 변려문의 문학적 특징을 남용익의 「여평(儷評)」을 기 초로 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17세기 변려문은 송·원 변려문과 함께 서 유체 변려문이 일부 문인들 사이에서 창작되고 향유되었다. 송·원변려 문은 ‘여문선집류(儷文選集類)’의 편찬 양상을 통해 확인할 수 있고, 서 유체 변려문은 「여평」에서 언급된 작품들을 바탕으로 그 특징을 분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여문선집류’를 살펴보고 그 가운데 송대의 대표 문인 소식과 17세기 조선의 대표적 관각 문인 이정귀(李廷龜)의 계문(啟 文)을 비교하여 당대 조선의 관각체 변려문의 특징을 알아보았다. 서유 체 변려문은 중국 남북조 시대 유신의 「애강남부서」와 임숙영의 ‘선구 려문’ 글을 비교 분석하였다. 남유용이 선별한 임숙영의 글은 「통군정서」, 「연광정서」 등 총 8개이다. 이 가운데 세 편 선구문(選句文)을 가지고 서 유체적 특징을 살폈다. 임숙영(1576~1623)의 변려문이 가지는 의미는 송·원 변려체 문장과 대 비되는 서유체 변려문이 창작되고 향유되었다는 데 있다. 고문에서는 당송고문과 진한고문이 변주를 이루어 문단을 풍요롭게 했듯이, 당시 변려문에서도 어떠한 변화가 일어났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기초 로 2차 논문에서는 동시대 인물 차천로를 포함하여, 차천로와 임숙영이 어떤 이유로 변려체 산문을 지었는지, 이들을 잇는 작가가 있는지, 그리 고 위 두 인물의 변려문 작품을 구체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서유체 변려문의 형식성이 문학사에서 어떤 의미를 갖는지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목차

<논문 요약>
Ⅰ. 서론
Ⅱ. 17세기 변려문의 흐름
1. 송·원 변려문: 전중기실(典重記實)·간도사정(懇到寫情)
2. 서유체 변려문: 격조고화(格調高華)·음향청초(音響淸楚)
Ⅲ. 임숙영 변려문의 서유체적 특징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광섭 Kim, Kwangseub. 광운대학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