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조계종의 ‘통불교’ 인식과 그 문제점 - ‘통불교’ 담론의 전개양상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Perception of the Jogye Order towards the Syncretic Buddhism (t’ong bulgyo, 通佛敎) and Its Related Issues -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the Discourse of the Syncretic Buddhism -

김상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is the representative order of Korean Buddhism. Nonetheless, it faces a separation between its own history and the present society. Such a separation is frequently displayed as an identity crisis in the Buddhist practice and propagation activities. In accordance with this current situation, it is claimed that the title of the sect should be reformed. Furthermore, the identity crisis of the Joyge Order of Koran Buddhism might bring out an identity crisis of Korean Buddhism. If so,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Jogye Order and Korean Buddhism? Also, what is the aim they have been pursuing? I believe that the answer to this question should be founded in the history of Korean Buddhism. Choi Nam-seon (1890-1957), placing emphasis on the teachings of Wonhyo (元曉, 617-686), advocated the so-called Syncretic Buddhism in 1930. The T’ong bulgyo (通佛敎), which may be translated as “syncretic“ or “all-encompassing” Buddhism, had been known as one of the attributes of Korean Buddhism for quite a while. It however has been greatly criticized by Shim Jae-ryong as well as some western scholars on the ground that the T’ong bulgyo was initiated by Japanese in the modern period of Japanese colonial era. Since the 1980s the modern discourse of the T’ong bulgyo was regularized and expand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 of Korean Buddhism. Notwithstanding the attempt, the domestic scholars who involved in the discourse had insufficient arguments in that they merely complemented and enlarged the viewpoint of Choi Nam-seon, which is that the T’ong bulgyo is the characteristic of Korean Buddhism. Since the Jogye Order had lost its title in 1424, it was restored under the title, the Jogye Order of Joseon Buddhism (朝鮮佛敎曹溪宗). Despite the fact that the title has disappeared for more than 500 years, the members who established the Jogye Order of Joseon Buddhism, argued that they intended to succeed to the traditional heritage of the Jogye Order in the history. Since then, it is necessary to evaluate the monastery events happened in the 20th century including the establishment of the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大韓佛敎曹溪宗) from the succession point of view. The Jogye Order in Korea has a long history from the establishment of the Nine Mountain Schools (九山禪門) in the Unified Silla period, to the continuation from the Chan school (禪宗) to the Jogye order school, to the period without religious orders, and finally to the establishment of the Jogye Order of Joseon Buddhism and the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The identity of the Jogye Order in Korea, therefore, should be investigated throughout its own teaching, faith, and practice. In conclusion, I point out that the usage of the term, the T’ong bulgyo, is not appropriate since not only is it an unidentified derived term from Japanese Buddhist society, but it cannot also embrace the tradition and history of the Jogye Order in Korea.

한국어

대한불교조계종은 한국불교를 대표하는 종단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계종은 역사와 현재 사이에서 결코 적지 않은 괴리감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괴리감은 수행과 포교의 현장에서 정체성 혼란이라는 표현으로 자주 노출되고 있으며, 그 해결책의 하나로 종명(宗名)을 개정해야 한다는 주장까지 제기되고 있는 현실이다. 조계종 정체성 논란은 곧 한국불교의 정체성 논란으로 이어질 수 있다. 조계종과 한국불교는 과연 어떠한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지금 어떠한 방향을 향해 나아가고 있는가? 이러한 물음에 대한 답은 물론 역사 속에서 찾아야 한다는 것이 필자의 소신이다. 최남선은 원효의 불교를 크게 중시하면서 1930년 이른바 ‘통불교론’을 주창하였다. 이후 한동안 통불교는 호국불교와 함께 한국불교를 대표하는 특성으로 인식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하지만 심재룡과 일부 서구학자들에 의해 최남선의 통불교론은 크게 비판을 받았으며, ‘통불교’는 근대기 일본인들이 처음 사용했던 용어라는 사실이 새롭게 밝혀지기도 하였다. 1980년대 이후 본격화된 ‘통불교’ 담론은 ‘한국불교의 특성’을 규명하기 위한 담론으로 확대되었다. 하지만 이 담론에 가담한 국내 불교학자들의 관점은 주로 ‘통불교(회통불교)는 한국불교의 특성’이라는 최남선의 견해를 확대, 보완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조계종은 1424년 종명(宗名)을 상실한 이후 1941년에 이르러 조선불교조계종으로 재탄생되었다. 비록 500년 이상의 단절기를 거쳐야 했지만, 당시 ‘조선불교조계종’을 탄생시켰던 구성원들은 역사 속의 조계종을 계승한다는 취지를 뚜렷하게 밝혀 놓았다. 이후 1962년의 ‘대한불교조계종’ 성립에 이르기까지, 20세기에 진행되었던 일련의 조계종 역사는 분명 ‘계승’의 관점에서 바라볼 필요가 있다. 조계종은 ‘나말여초 구산선문의 성립-선종과 조계종으로의 존속기-선종으로의 통폐합과 무종단시대-조선불교조계종과 대한불교조계종 성립’으로 계승되는 역사를 지니고 있다. 조계종의 특성과 정체성은 바로 이러한 역사를 관통하는 사상과 신앙, 그리고 수행전통 속에서 찾아야 한다. 따라서 아직도 곳곳에서 표현되고 있는 ‘통불교’는 일본 불교계에서 파생한 정체불명의 용어라는 사실 이외에도, 조계종의 전통과 역사를 아우르는 용어로도 대단히 부적합하다는 점을 지적해 두고 싶다.

목차

한글요약
Ⅰ. 머리말
Ⅱ. 통불교론의 제기와 형성
Ⅲ. 통불교론 비판과 담론의 전개양상
Ⅳ. 통불교 인식과 조계종의 전통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상영 Kim, Sang-young.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부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